“안전지대 아니다…전력정책 재검토” 촉구
일본 후쿠시마 원전 폭발 사고가 잇따르면서 국내에서도 시민단체를 중심으로 노후 원전 폐쇄 등 원전 반대 목소리가 점차 커지고 있다.
포항에서는 무려 9개 시민단체가 정부의 원전을 통한 전력정책 전면 재검토를 요구하고 나섰다.
포항환경운동연합 등 포항지역 9개 시민단체는 17일 “일본 후쿠시마 원전사고로 우리나라도 핵 안전성이 우려되는 상황에서 국내 전력정책을 전면 재검토하라”고 촉구했다.
정부는 원자력 발전 비중을 2010년 23.3% 수준에서 2030년 41%로 확대할 방침이다.
경주환경운동연합도 “후쿠시마 제1원전 1호기는 올해 2월에 폐쇄될 예정이었으나 10년 수명연장이 허가됐고 결국 큰 사고로 이어졌다”면서 “교육과학기술부가 올해 부산시 기장군의 월성원전 1호기의 수명연장 여부를 결정할 계획인데 월성 1호기는 조기에 폐쇄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원전유치를 놓고 경합을 벌이고 있는 강원 삼척, 경북 울진·영덕 등 3곳에서도 원전에 대한 입장 변화의 조짐이 감지됐다. 원전 유치에 따른 재정적 혜택 등으로 지금까지는 찬성 여론이 부각됐지만, 일본 원전 사고 이후로 반대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삼척핵발전소백지화위원회는 최근 삼척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원전 유치를 즉각 철폐할 것을 촉구한다”며 일본 원전 폭발사고에도 원전 부지 심사를 강행하는 한국수력원자력을 규탄했다.
정부 관계자는 “국내 원전은 규모 6.5의 지진, 0.2g의 지반 가속도를 견딜 수 있게 설계됐다”며 “판경계면에서 멀리 떨어져 강진 가능성이 낮은 한반도 지질 특성을 감안하면 최상의 수준”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