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해운업계 4위의 대형 선사인 대한해운이 ‘왜 이렇게 쉽게 무너졌나’하는 의문의 목소리도 나온다. 그러나 해운업계에선 지난 2009년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부터 대한해운에 대한 불안감은 지속적으로 이어져 왔다고 전한다.
해운업체 관계자는 “용선료 협상이 원활하게 이뤄지지 않아 대한해운의 법정관리는 예정된 수순이었다”고 전했다. 실제로 대한해운은 이달 초 60여명의 용선 선주들을 본사로 초청해 용선료 협상을 위한 자리를 마련했다. 그러나 그리스와 일본 선주들의 반발로 무산, 법정관리 수순을 밟은 것으로 전해졌다.
지난 2009년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 약 60여척의 용선에 대해 용선료 인하 협상을 진행했던 대한해운은 이번 협상에 큰 기대를 걸었으나 결국 실패했다.
그렇다면 용선주들은 대한해운이 용선료 협상이 최후 보루였던 사실을 알고도 왜 미진한 반응을 보였을까. 결국 용대선 사업을 통해 수입을 올리는 선주들이 고가의 용선료를 포기하기 쉽지 않았을 것이라는 추론은 가능하다.
용선주들이 단기간 수익에 급급한 결과 대한해운을 법정관리로 내몬 것이다. 회사가 정상적으로 돌아가야 장기적으로 대선 수입을 받을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용선주는 용선료 인하를 위한 재협상에 나서야 한다.
그러나 가장 큰 잘못은 대한해운에 있다. 해운업, 특히 용선업이 경기에 민감한 하이리스크 업종인 데도 경기사이클을 무시한 채 무리하게 비싼 용선료를 지불하며 배를 빌린 탓이다.
과거 삼미해운의 몰락이 그렇고, 동남아해운을 인수했던 C& 그룹이 선대 운영을 잘못해 몰락한 경우도 유사하다.
해운업계가 대한해운의 무리한 경영행태를 반면교사로 삼지 않는다면 이같은 사태는 되풀이될 수 밖에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