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문형 랩어카운트 잔고가 5조원을 넘어섰다. 10개월만에 10배로 폭증한 것이다. 이에 증권사들은 올해 잔고 10조원 돌파를 목표로 자금모집에 나서고 있다.
12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대우증권이 삼성증권과 우리투자증권, 미래에셋증권 등 10여개 주요 증권사의 자문형 랩 잔고를 집계한 결과 지난해 12월 말 현재 5조670억원을 기록했다.
지난해 3월 말 랩 잔고가 5300억원에 불과했었음을 감안하면 불과 10개월 만에 10배나 불어난 것이다.
증권사별로는 단연 삼성증권이 압도적인 랩잔고를 보유하고 있다. 지난해 말 2조원을 돌파한 삼성증권의 자문형 랩 잔고는 최근 2조4000억원까지 늘어났다. 증권사들의 전체 자문형 랩 잔고의 절반에 해당한다.
이어 우리투자증권(9133억원), 한국투자증권(7700억원), 미래에셋증권(5091억원), 대우증권(3800억원), 현대증권(1620억원) 순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랩어카운트 인기가 날로 높아지자 증권사들은 적극적으로 자금모집에 나서고 있다. 삼성증권은 올해 자문형 랩 잔고를 10조원 이상으로 늘린다는 방침이다.
우리투자증권 역시 자문형 랩 목표를 10조원으로 내걸었다. 이 밖에 대우증권은 1분기까지 1조원 순증을, 한국투자증권은 올해 2조원을 목표로 잡고 있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증권사들이 또다시 '쏠림현상'을 부추기는 것이 아니냐며 우려하고 있다.
증권업계 관계자는 "미국의 경우 랩 비중이 높기는 하지만 펀드, 주식, 채권 등 종합 자산운용 랩이 대부분"이라며 "증권사들의 경쟁이 과열된다면 시장 건전성도 훼손될 것"이라고 우려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