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 게임 규제의 허상

입력 2010-11-25 14:53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지난 18일 부산 벡스코에서 열린 국제 게임쇼‘지스타(G-Star) 2010’은 질과 양적인 측면 모두에서 호평을 받았다. 사상 최강의 라인업이 선보였으며, 참가 업체도 사상 최대 규모인 22개국 316개사에 달했다.

하지만 이틀 전에는 같은 지역에서 비극적인 사건이 발생했다. 15세의 중학생이 PC게임을 말리는 어머니의 목을 졸라 살해한 뒤 스스로 목숨을 끊은 것.

사건의 원인으로는 당연하다는 듯(?) 게임중독이 지목됐다. 하지만 내막을 들여다보면 게임이 주범은 아님이 드러난다. 이 학생의 일기장에는 게임중독에 대한 자책도 있었지만 집을 나간 아버지에 대한 그리움, 그리고 세상에 대한 원망의 글들이 더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학교생활도 힘들었을 것으로 짐작된다.

한마디로 이 사건은 개인의 도덕성이나 의지가 아닌 환경 탓일 공산이 크다는 것이다. 똑같은 PC게임을 했더라도 정상적인 환경에서 자란 아이들에게서는 이 같은 일이 발생하지 않는다는 게 단적인 반증이다.

사실 중독이란 말은 우리 주변에 너무나 흔하다. 국제통화기금(IMF) 사태 이후 나타난 도박중독, 윤락중독, 약물중독 등이 바로 그것. 어쩌면 이는 시대의 아픔을 반영하는 마음의 병인지도 모른다. 이 때문에 대책을 세운다고 중독 증상을 치유할 수는 없으며, 규제는 속도를 다소 지연시킬 수 있을지 몰라도 근본적 해결책은 될 수 없다.

여성가족부는 최근‘심야시간 온라인게임 셧다운제’도입을 골자로 한 청소년보호법 개정안을 국회에 제출했다. 온라인게임 서비스 이용 시간을 제한하겠다는 것인데, 결과는 뻔해 보인다.

어떤 규제도 사회에서 소외된 이들의 마음까지 치료해 주지는 못하기 때문이다. 환경적 요인으로 인해 게임에 빠질 수 밖에 없었던 이웃이나 가족에게 필요한 것은 규제보다 따뜻한 포옹일지 모른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