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은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6000억원 상당의 양적완화(유동성 공급) 조치를 두고 실물경제에 주는 효과는 작고 되레 부작용을 키울 수 있다고 우려했다.
11일 한은은 '연준 QE2(2차 양적완화)의 효과에 대한 평가와 전망' 보고서에서 "연준의 2차 양적완화는 장기금리 하락, 주가 상승, 미 달러화 약세를 가져오는 데는 어느 정도 성공했지만 이러한 가격지표의 변화가 실물경제 회복으로까지 이어지는 데는 한계가 있는 것으로 평가한다"고 밝혔다.
중앙은행이 채권을 사들여 돈을 푸는 양적완화는 시장금리와 통화가치를 낮추고 대출을 늘리는 '1차 경로'를 통해 소비, 투자, 수출이 확대되는 '2차 경로'로 이어져야 하는데 1차 경로는 작동했지만 2차 경로 효과가 제한적이라는 것이다.
한은은 풍부한 달러화 유동성이 신흥시장국으로 추가 유입돼 자산가격의 버블(거품)을 가져올 수 있으며, 주요 20개국(G20) 합의에도 신흥국들이 통화가치의 과도한 절상을 막으려고 환율 방어 정책을 다시 펴면 환율분쟁이 재연될 우려가 있다고 지적했다.
한은은 "양적완화 발표 이후 상품시장으로 대규모 투기자금이 유입되고 있으며 그 영향으로 금과 원자재 등 상품가격이 급등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또 한은은 "미 연준의 추가 국채를 매입으로 향후 출구전략에 어려움이 예상된다"며 "확대된 유동성을 흡수하는 과정에서 대규모로 채권을 매각하면 손실 입을 수 있고, 이를 의식해 출구전략을 미루면 인플레이션 압력에 직면할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