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20 서울 정상회의가 코 앞으로 다가오면서 원·달러 환율에 어떤 영향을 줄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특히 미국의 6000억달러 규모의 2차 양적완화로 원·달러 환율은 1100원대로 내려섰지만 G20 정상회의를 남겨두고 있어 하락세가 주춤한 모습이다.
이번 G20 서울 정상회의에서 가장 관심이 집중되는 것은 환율 분쟁과 관련해 각국 정상들이 어떤 합의를 도출할지이다. 다만 각국의 경제 문제가 걸려 있는 만큼 구체적인 합의는 어려울 것이라는 게 시장의 지배적인 전망이다.
전문가들은 지난달 경주 G20 재무장관 합의보다는 진전된 결과가 나오겠지만 경상수지 가이드라인과 관련해 구체적인 수치가 제시될 가능성은 크지 않을 것으로 예상했다. 또 중국, 브라질 등의 나라가 미국의 추가 양적완화를 문제 삼을 경우 구체적인 합의가 어려울 수도 있다.
여기에 정부가 추진 중인 자본 유출입 규제에 외환시장의 관심이 기울어져 있는 점도 간과할 수 없다. 현재 우리 정부는 외국인의 국채 투자에 대한 이자소득세 원천징수제도 부활과 은행 부과금 도입, 선물환 포지션 규제 강화 등을 검토 중에 있다. 미국의 양적완화 조치에 따라 자국의 핫머니(단기 투기성 자금)이 유입되는 것을 줄이기 위해서다.
때문에 금융당국도 이에 대해 주의깊게 지켜보고 있는 상태다. 김종창 금융감독원 원장은 8일 "부당 외국환 거래가 있다면 그에 상응하는 제재를 취하겠다"며 "소규모 개방경제인 우리나라로서는 자본 유출입 문제가 중요하기 때문에 제도 개선도 생각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 같은 대응 마련은 한국 뿐 아니라 다른 신흥국도 마찬가지다.
하지만 이런 규제에도 달러화 약세와 신흥국 통화 강세라는 흐름을 거스르지는 못할 것이라는 게 대체적인 관측이다. 미국의 2차 양적 완화 조치로 실제 달러가 추가적으로 풀리게 되면 풍부한 유동성은 상대적으로 탄탄한 경제회복을 보이는 신흥국으로 흘러들어 갈 수밖에 없다는 분석에서다.
외환시장 전문가는 "자본 유출입 규제가 단기적으로는 환율 상승 쪽으로 변동성을 키우겠지만 중장기적으로는 수급을 따를 수밖에 없어 원·달러 환율은 하향 추세를 이어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