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뿔난' 中 위안 절상 압박에 美기업에 보복?

환율조작국 제재법 위안 절상에 도움 안돼

미국의 위안화 절상 압박으로 중국이 미국기업에 보복 조치를 취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주중 상하이 미 상공회의소의 로버트 로체 회장은 “중국은 일본에 이어 또 다른 악역을 찾고 있다”면서 “미국이 중국의 다음 목표가 될 수 있다”고 밝혔다고 28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이 보도했다.

미 하원은 금주 중에 본회의에서 지난주 하원 세입위에서 통과된 ‘환율조작국 제재법’을 표결에 부칠 예정이다.

이 법안은 실질적으로 중국을 겨냥한 법으로 환율조작국의 대미 수출품에 대해 보복 관세를 매길 수 있다는 것이 핵심이다.

제네럴일렉트릭(GE)과 씨티그룹 및 제약업체 박스터 인터내셔널 중국법인 등 미국 기업은 미 하원에 대표를 파견해 환율조작국 제재법의 통과가 양국의 무역갈등을 고조시켜 기업활동에 피해를 미칠 것이라고 의원들을 설득하고 있다고 통신은 전했다.

로펌 커빙턴앤벌링의 티모시 스트랏포드 변호사는 “하원의 움직임은 미국의 중국 수출을 쉽게 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악화시킬 것”이라고 말했다.

미국의 올해 1~7월 대중국 무역적자는 전년의 1230억달러(약 141조원)에서 1450억달러로 확대됐다.

위안화는 지난 6월 중국의 관리변동환율제 복귀 발표 이후 1.9% 절상됐지만 티머시 가이트너 미 재무장관은 “위안화 절상폭이 충분하지 않고 속도도 너무 느리다”고 비판한 바 있다.

스트랏포드 변호사는 “중국은 이미 소비자의 구매력을 증대시키고 인플레이션을 조절하기 위한 내부 필요로 위안화 절상을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베이징 미 상공회의소의 크리스찬 머크 회장은 “중국 정부는 외국의 압력에 의해 위안화 절상을 했다는 모양새를 가장 꺼려 한다”면서 “미 하원의 움직임은 위안 절상을 더욱 어렵게 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