점입가경 도요타 리콜사태... 반전드라마 될까

입력 2010-07-14 16:1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전 세계에서 800만대 이상의 리콜사태를 초래한 도요타자동차의 급가속 사고가 사실상 운전자의 실수였던 것으로 판명되면서 미국 정부와 도요타의 첨예한 갈등이 새로운 국면을 맞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13일(현지시간) 미국 교통부 산하 도로교통안전국(NHTSA)이 도요타 자동차의 데이터기록장치(EDR)를 분석한 결과 충돌 시 스로틀이 활짝 열려 있었을 뿐 아니라 브레이크에는 아무런 동작이 가해지지 않았다는 점을 발견했다고 보도했다.

WSJ는 관계자의 말을 인용해, 이 해석 결과는 불의의 급가속을 호소한 일부 운전자들이 브레이크를 갑자기 밟으려다 실수로 가속페달을 밟은 것을 의미한다고 전했다.

도요타 미국 법인의 마이크 미셸 대변인은 블룸버그와의 인터뷰에서 “3월 이후 급가속 문제에 관련된 2000건 가량의 보고서를 조사한 결과 원인은 다양했다”며 “가속페달이 원활하게 제 위치로 돌아오지 않는 경우는 물론 차 안에 물건이 놓여 있던 경우와 가속페달 조작 미숙도 포함돼 있었다”고 밝혔다.

운전자가 브레이크를 밟았다고 주장한 사례 가운데 사실은 가속페달을 밟은 사고로 연결된 사례에 대해서는 “사실상 모든 사례”라며 “전자제어 계통의 결함에 관한 증거는 발견되지 않았다”고 강조했다.

미 당국은 지난 3월, 도요타의 의도하지 않은 급가속으로 75건의 사망사고가 일어나 93명이 사망했다는 보고서를 발표한 바 있다.

이번 조사에서는 이 가운데 차량 결함이 원인으로 판명된 것은 1건뿐이었다고 WSJ은 전했다.

NHTSA가 분석한 EDR은 사고를 당한 운전자가 미 당국에 제출한 불만을 근거로 도요타가 아닌 당국이 직접 선정한 것이어서 신빙성을 더하고 있다.

이번 조사 결과는 1989년 미 정부가 발표한 독일 폴크스바겐 산하의 명차 ‘아우디 5000’에서 발생한 것과 같은 사례에 해당한다.

당시 운전자들은 급가속 사고를 기계 결함이라고 주장했으나 결론은 운전자의 조작 실수였던 것으로 판명된 바 있다.

NHTSA의 전 국장을 지낸 조안 클레이브룩 소비자 단체 퍼블릭시티즌의 전직 대표는 “이번 조사결과는 말도 안 된다”며 “차량의 전자계통을 조사해야 한다는 것은 누구나가 알고 있는 사실”이라고 반박했다.

그러나 언론들은 미 정부가 조사를 계속하겠다는 입장을 밝힌 가운데 전자계통의 결함을 부인해온 도요타의 결백이 입증될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다.

도요타의 주장이 입증될 경우 이미 실시한 리콜 비용과 현재 진행 중인 집단 소송에도 영향이 미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차량 결함에 따른 대량 리콜로 실추된 도요타의 신뢰도 회복에 극적인 회복이 예상된다.

도요타는 일본 언론들의 취재에 대해 “미 당국으로부터 조사 결과에 대한 보고를 아직 받지 못했다”며 공식 입장을 밝히지 않고 있다.

도요타는 가속페달 결함과 관련해 전 세계에서 800만대 이상의 차량을 리콜하고 NHTSA가 부과한 1637만5000달러의 민사 제재금까지 납부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