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中 면허 취소 위기...전략 180도 바뀌나

입력 2010-06-30 08:27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구글 홍콩 자동접속 불허에 추가절차 도입

중국정부의 검열정책에 반대해 홍콩으로 검색사이트를 옮긴 구글이 중국검색사업 중단이라는 위기에서 탈출하기 위해 새로운 조치를 취했다.

중국정부가 구글 홍콩으로의 재접속을 받아들일 수 없다고 밝히자 구글이 홍콩사이트 직접 접속을 취소하는 조치를 취했다고 30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이 보도했다.

구글은 지난 3월 중국정부의 검열정책에 반대해 홍콩으로 사이트를 옮겼고 중국 사용자들이 구글 중국사이트 주소인 google.cn을 입력하면 자동으로 구글 홍콩으로 접속하도록 했다.

데이비드 드루먼드 구글 최고법무책임자(CLO)는 “중국정부가 중국 사용자의 구글 홍콩 자동접속을 불허했다”면서 “구글 홍콩으로의 자동접속을 계속할 경우 인터넷 콘텐츠 제공자 면허 갱신이 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구글의 인터넷 콘텐츠 제공자 면허는 이날 만료돼 갱신조치를 취해야 하며 갱신이 안되면 구글 중국사이트를 운영할 수 없게 된다.

구글은 현재 구글 중국사이트 접속 시 “구글 홍콩사이트로 이동한다”는 메시지를 띄우고 한번 더 화면을 클릭해야 구글 홍콩으로 옮길 수 있는 조치를 취했다.

구글의 이런 조치는 검색서비스 이용시 추가 절차를 거쳐야 돼 사용자들의 불편이 더욱 커지게 됐다.

그러나 구글 중국사이트의 변화가 중국정부 요구를 만족시켜 면허 갱신이 이뤄질 지는 의문이라고 WSJ는 전했다.

중국에서 급성장하고 있는 온라인 지도 서비스도 정부당국의 규제라는 벽에 부딪히게 됐다.

중국정부는 지난달 중국에 온라인 지도 서비스를 공급하는 업체는 정부의 허가를 받도록 했다.

친강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구글 발표를 접하지 못해 직접적으로 거론할 수는 없지만 중국정부는 외국기업들이 중국법에 따라 중국사업을 하길 바라며 인터넷 부문도 마찬가지다”라고 언급했다.

구글은 이번 조치로 4억명에 달하는 세계 최대 인터넷 인구를 자랑하는 중국 시장에서 더욱 어려움에 처하게 됐다.

구글의 올해 1분기 시장점유율은 전분기의 35.6%에서 31%로 떨어졌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