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 2020년까지 조강 톤당 CO₂9% 감축

입력 2010-02-03 17:05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저탄소 녹색성장분야 7조원 투자...10조 매출, 8만7천여명 일자리 창출

포스코가 2020년까지 조강 톤당 이산화탄소(CO₂) 배출량을 2007년~2009년 평균 대비 9% 감축키로 했다.

포스코 정준양 회장은 3일 청와대에서 이명박 대통령 주재로 개최된 제 7차 녹색성장 위원회에서 이 같은 내용의 온실가스 감축계획을 발표했다.

정 회장은 "기후변화 해결을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보다 신속 하고 자발적인 실천"이라고 강조하고 "포스코는 저탄소 철강공정 으로 전환하고 녹색 비즈니스를 확대해 기후변화에 선도적으로 대응 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는 기후변화를 더 이상 위기로 인식하지 않고 지구환경 보호와 미래 철강 경쟁력 제고를 동시에 추구하는 기회로 삼겠다는 것이다.

포스코는 이번에 발표한 감축 목표에 따라 쇳물 1톤을 생산하는 데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기존 2.18톤에서 2020년에는 9% 줄인 1.98톤으로 대폭 낮출 계획이다.

포스코는 "극한 노력 결과 에너지효율이 세계 최고 수준에 도달 했지만, 부생가스를 연료로 증기 발전을 하고, 동시에 연소된 가스의 압력으로 한번 더 발전을 하는 복합 발전 등을 통해 2015년까지 조강 톤당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3% 정도 줄일 계획"이라고 밝혔다.

또한 2020년까지 재가열 없는 제강-열연공정 등 저탄소 철강 혁신 기술을 개발해 6%를 더 저감하는 도전적 목표를 세웠다. 포스코는 이와 같은 에너지 절약과 혁신 기술 개발에 총 1조5000억원을 투자한다.

거기다 제철소 온실가스 감축과 별도로, 승용차 경량화 및 연비 향상에 기여하는 고장력 자동차 강판 보급을 확대하고, 친환경 시멘 트를 만드는 수재 슬래그 생산을 확대하는 한편, 차세대 발전용 연료 전지의 국산화, 해양풍력발전 등을 통해 1400만톤의 사회적 온실 가스 감축에도 앞장 설 계획이다.

사회적 온실가스란 실제 공장에서 직접 발생하지 않지만 관련된 전후 공정이나 생산된 제품 사용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온실가스를 말한다.

포스코는 이와 함께 2018년까지 연료전지, 풍력 및 해양에너지, 생활 폐기물 연료화 등 저탄소 녹색 성장 사업에 7조원을 투자해 연간 10조원의 매출과 8만7000여명의 새 일자리를 창출할 계획 이다.

한편 이날 포스코는 세계 철강업계 최초로 회사 기후변화 대응 체계, 온실가스 감축활동 성과와 2020년까지의 온실가스 감축목표 등의 내용을 담고 있는 '2009 탄소보고서'도 발간했다. 이 보고서는 사외 검증기관에서 사업장 온실가스 배출량 확인과 보고서 검증을 거쳐 높은 신뢰도를 확보함으로써 기후변화 대응과 관련해 다른 철강 회사의 벤치마킹 대상이 될 것으로 보인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