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축 지자체 대형 청사, 에너지 사용 '펑펑'

입력 2010-01-31 11:37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지자체 설계부터 에너지절약조건 부과

용인과 이천 등 지방자치단체의 신축 대형 청사의 에너지효율이 최저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식경제부와 행정안전부는 246개 지자체 청사의 지난해 에너지 사용실태를 분석한 결과, 1인당 에너지사용 상위 30개 기관 가운데 10개가 지난 2005년 이후 신축된 청사였다고 31일 밝혔다.

1인당 가장 많은 에너지를 사용한 청사는 2005년 신축한 용인시청(3566kgoe/인·석유환산킬로그램)이었고, 이천시청(1824kgoe/인) 천안시청(1836kgoe/인) 경기 광주시청(1085kgoe/인) 연수구청(1673kgoe/인) 등이 뒤를 이었다.

이들 청사의 신축년도는 각각 2008년, 2005년, 2009년, 1999년이다. 전체 에너지 사용량으로는 부산시청(3344toe)이 1위였고, 경기도청(3138toe)과 서울시청(2812toe) 등 순이었다.

지난해 246개 청사 전체의 에너지 사용량은 2008년보다 5.6%늘어난 12만7253toe, 1인당 평균 사용량은 936kgoe였다.

지경부는 특히 신축 청사의 1인당 에너지사용량은 국내 상업용 건물 또는 선진국 공공건물보다 1.5배 이상 높았다고 설명했다.

2005년 이후 신축된 15개 지자체 청사의 평균 에너지사용량은 1141toe(석유환산톤)로 전체 평균(558toe)의 2배였고, 1인당 에너지 사용량도 1510kgoe로서 평균(989kgoe)의 1.5배에 달했다.

또 대형청사로 거론되는 용인과 성남, 천안시청에 대해 건물에너지효율등급을 분석한 결과, 용인과 성남시청은 등외판정을 받았고 천안시청은 4등급으로 나타났다.

정부는 이에 대해 올해 공공부문 에너지사용을 지난해보다 10% 절감할 목표를 세우고, 에너지 소비 점검을 제도화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우선 공공건물의 에너지사용 실태를 온라인으로 실시간 점검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해 내달중 본격 가동한다. 매년 상·하반기마다 공공기관의 에너지 사용 현황도 분석해 발표한다.

지자체 청사 건축 심사부터 에너지절약형 설계조건을 부과하고, 신축 공공건물의 에너지효율 1등급 취득을 의무화한다. 모든 공공기관에는 대기전력 자동차단장치 설치를 의무화하고, 컴퓨터 대기전력 차단 소프트웨어도 보급한다.

한편 용인시청은 에너지부하 감소를 위해 청사외벽 단열필름 부착작업을 추진하고 LED조명 개체작업도 지속적으로 추진할 예정이다.

충남도청도 신축예정인 청사의 에너지효율 1등급 취득을 위해 현재 설계작업을 보완 중이며, 하반기 에너지 효율등급을 신청할 계획이다. 특히 일산서구청은 추진중이던 신청사 건립계획을 중단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