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지역 연립ㆍ다가구주택 인기 상승

입력 2009-09-24 11:1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전세가격 안정대책 이후 서울 연립·다가구주택 낙찰가율 10.79%p 상승

서울지역 연립·다가구주택의 인기가 치솟고 있다.

24일 경매정보업체 디지털태인에 따르면 서울시가 지난 14일 전세가격 안정화 대책을 발표한 이후 15일 부터 23일 동안 서울지역 연립·다가구주택의 낙찰가율은 98.12%를 기록해 이달(9월 1~15일까지) 87.33% 보다 10.79%p 상승했다.

이는 지난해 8월 서울지역 연립·다가구주택의 낙찰가율이 105.55%를 기록한 이후 13개월만에 가장 높은 수치다. 반면 같은 기간 동안(15일~23일) 서울지역 아파트 낙찰가율은 91.88%로 이달(91.48%)보다 0.40%p 상승하는데 그쳤다.

이 같은 결과는 서울시가 구릉지를 제외한 정비사업구역에 종 상향과 1~2인 가구를 위한 도시형생활주택공급 활성화를 위해 주차장 설치기준을 완화하겠다는 방침이 투자자들의 기대를 증폭시켰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게다가 지난 7일부터 총부채상환비율(DTI) 규제 강화조치도 연립·다가구주택의 낙찰가율 상승에 한 몫 한 것으로 풀이된다.

연립·다가구주택은 이명박정부가 출범한 이후 지난해 여름까지 낙찰가율이 100%를 상회하는 등 인기가 뜨거웠다. 그러다 금융위기 이후 낙찰가율이 하락세를 기록, 지난해 12월에는 73.49%까지 떨어졌다.

이후 집값 상승세와 함께 지난 3월에는 낙찰가율이 80%대, 6월엔 90%대까지 회복했고, 이달 들어 서울시의 규제완화 방침이 발표되자 낙찰가율은 급등하기 시작했다.

지난 22일 서울서부지방법원 3계에서 진행된 서대문구 홍제동 성진빌라 101호의 경우 첫 입찰에서 26명이 몰리면서 감정가 6000만 원의 166.67%인 1억 원에 낙찰됐다.

또 지난 15일에는 마포구 서교동 476-34번지 402호(다세대 전용 76.81㎡)는 두 번째 입찰에서 10명이 응찰해 감정가(3억2000만 원)의 100.78%인 3억2250만 원에 주인을 찾았다.

디지털태인 이정민 팀장은 "현재 대출규제(DTI)확대 시행과 서울시의 공급확대에 따른 용적률 완화는 연립·다가구주택의 투자성을 높이게 될 것이라"며 "경매시장에서 연립·다가구주택의 인기는 당분간 지속될 가능성이 크다"고 설명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