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종별 고부가 제품 생산 위한 특화교육 많아"
섬유패션업에 종사하는 기업들은 인력양성을 위한 교육과정으로 업종별 고부가 제품 생산을 위한 특화교육을 가장 많이 실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섬유산업연합회(이하 섬산련)는 지난 8월 노동부 지원으로 화섬, 면방, 제직, 염색가공, 패션 등 전국의 섬유패션 종사업체 약 3000개사를 대상으로 '섬유패션업계 재직자 교육훈련 실태조사'를 실시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7일 밝혔다.
조사결과에 따르면 우선 업체들은 기존의 교육훈련 활동의 정도에 대해 '관리사무직'에서는 가장 높은 32.8%가 기존의 교육활동이 충분하다고 답한 반면, '연구개발·기술직(16.9%)'과 '생산직·기능직(20.4%)'은 교육훈련이 상대적으로 다소 떨어진다는 결과를 보였다.
직업훈련이 부족한 주된 이유는 생산직에서는 '대체근무인력의 부족으로 인한 생산차질 및 인력난'이었으며, 연구개발 및 기술직에서는 '마땅한 교육훈련기관 및 과정이 없어서' 등으로 나타났다.
사내 현장교육의 경우 '직무특성상 교육 불가능', '업무과다', '사내 교육전담자 확보곤란' 등의 이유로 응답업체의 39.1% 만이 내외부 강사에 의한 사내교육을 진행한 경험이 있었다. 반면 외부 지원이 있을 경우 54.0%의 업체가 사내훈련을 진행할 의향을 보여 향후 사내강사 양성을 통한 재직근로자 교육의 필요성이 제기됐다.
이와 함께 전체적인 교육의 필요도 및 현재 기술수준을 비교해보면 '신소재의 개발동향 및 시장동향' 등 섬유재료에 대한 교육수요와 '패션유통분야'의 교육수요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5점 척도로 조사한 업종별 필요교육에 대해서는 패션유통 분야의 '패션마케팅교육(4.03점)', 염색가공 분야의 '불량원인 분석 및 사례(3.96점)', 편직분야의 '조직분해 및 불량분석(3.49점)', 제직분야에서는 '신제품기획과 원가계산(3.15점)', 디자인·패턴·봉제분야에서는 '고급 입체패턴기술교육(3.10점)' 등으로 조사되 불량분석 및 제품고급화를 통한 고부가가치화에 대한 많은 교육이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업계의 교육참여율을 높이기 위해 조사된 선호하는 교육시간대 조사결과를 보면 ‘퇴근후 교육’, ‘오후교육’, ‘주말교육’ 등의 순으로 선호도가 나타났으며, 재직자 교육훈련의 가장 큰 장애요인으로는 대체근무인력의 부족인 것으로 조사됐다.
아울러 시급하게 실행돼야 할 산학협력 형태는 ‘인턴쉽(현장실습 포함)’과 ‘산학공동 연구 개발’ 인 것으로 나타나 각각 32.5%, 26.8%의 의견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