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니엘 카스트로 ITIF 부회장 “AI는 차세대 기후 솔루션 기반” [미리보는 CESS 2025]

“AI, 차세대 기후 솔루션 기반 될 것
청정에너지원 사용·민관 협력 등으로 문제 대처해야
한국, 기후 대응 위한 AI 혁신 주도할 수 있어”

▲다니엘 카스트로 정보기술혁신재단(ITIF) 부회장 겸 데이터혁신센터 소장

인공지능(AI)은 차세대 기후 솔루션의 기반이 될 것이다. AI를 위협으로만 인식한다면 지속가능성 목표를 달성하는 데 도움이 되는 기술 도입을 지연시킬 수 있다. 추측에 근거한 위험보다는 실제 결과에 집중해 관리 감독하고 혁신을 촉진해야 한다.

‘기후위기 시대, AI가 열어갈 새로운 세계: 희망인가, 위험인가?’를 주제로 26일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리는 ‘서울 기후-에너지 회의(CESS·Climate-Energy Summit Seoul) 2025’의 제1회 회의 ‘AI와 허위·조작 정보’ 패널로 참석할 다니엘 카스트로(Daniel Castro) 정보기술혁신재단(ITIF) 부회장 겸 데이터혁신센터 소장은 22일 본지와의 인터뷰에서 AI에 대한 근거 없는 불안보다 긍정적인 영향에 주목해야 한다며 이렇게 의견을 제시했다. 그는 CESS 2025에서도 ‘AI의 에너지 소비에 대한 우려 해소: 책임 있는 AI 활용과 정책 지원 방안’을 주제로 의견을 나눌 예정이다.

카스트로 부회장은 데이터, 보안, 지적 재산권, 인터넷 거버넌스 등을 연구해왔고 미국 회계감사원(GAO) 및 여러 정부 기관에서 IT 분석가, 보안 전문가로 일해왔다.

AI, 기후위기 대응 ‘순영향’ 주목해야

카스트로 부회장은 “많은 AI 관련 논의가 맥락 없이 에너지소비량만 강조한다”면서 “최근 주목을 받은 ‘AI의 에너지 사용에 대한 우려 재고’ 보고서도 과도한 우려를 조장하는 주장을 반박하고 더 균형 잡힌 이해를 장려하기 위해 쓰게 됐다”고 밝혔다.

그는 “AI는 환경오염원이 아닌 기후위기 대응 해결책의 일부로 봐야 한다”며 “AI는 기후 시스템 모델링, 에너지 사용 최적화, 청정 기술 혁신 가속화에 매우 효과적인 도구다. AI의 환경적 영향뿐 아니라 전체적인 ‘순영향(Net Impact)’을 평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사회는 갈수록 더 큰 탈탄소화 압박을 받고 있다”며 “가능한 모든 도구를 활용해야 한다”고 부연 설명했다.

특히 “AI의 에너지 소비가 특히 높고 지속 불가능하다는 인식을 바로잡아야 한다”면서 “언론 보도에서도 일부 극단적 사례가 확대해 해석되곤 한다. 더 검증된 공공 데이터와 맥락을 충실히 반영한 보도와 AI의 이점과 대안을 명확하게 반영한 분석 등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AI, 차세대 기후 솔루션 기반 될 것

나무가 아닌 숲을 보면 AI의 잠재력이 보인다는 게 카스트로 부회장의 생각이다. 그는 “AI는 기후 데이터 수집·처리·활용 능력을 향상해 기후행동을 더 빠르고 스마트하게 그리고 산업 전반에 걸쳐 확장할 수 있게 할 것”이라며 AI의 에너지 시스템 효율화, 환경 모니터링 개선 가능성에 주목했다.

그러면서 “이미 풍력·태양광 발전 예측 분야에서는 AI를 활용한 정확도 개선으로 전력망의 수요와 공급을 균형 있게 조정하고 있다”며 “전력 회사들은 AI로 에너지 부하를 최적화해 낭비를 줄여나가고 있으며 도시에서는 AI를 활용해 교통 흐름을 개선하고 탄소 배출량을 줄이고 있다”고 예를 들었다.

그는 “AI는 차세대 기후 솔루션의 기반이다. 무엇보다 정밀 농업, 탄소 회계, 실시간 기후 모델링 분야에서 AI가 적극적으로 활용될 것으로 예상된다”며 “특히 AI와 위성 데이터를 결합한 글로벌 환경 모니터링과 AI를 활용한 탄소 포집용 신소재 설계 등에 대한 기대가 크다”고 말했다.

아울러 카스트로 부회장은 AI를 기후 대응에 활용하는 가장 효과적인 사례로는 재생에너지 예측을, 가장 혁신적인 사례로는 스마트시티 개발을 각각 꼽았다.

과도한 탄소 배출·허위 정보 등 AI 위험성 대응 해법은

카스트로 부회장은 AI가 과도하게 탄소를 배출하는 것에 대한 해법으로 “AI를 위한 데이터센터에서도 청정에너지를 채택하는 것이 핵심”이라며 “저탄소 에너지원 사용을 장려하고 에너지원 출처를 투명하게 밝히도록 하며 에너지 효율성 연구개발(R&D)을 지원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AI 오류·조작·허위 정보 등 위험성에 대해서는 “워터마킹, 출처 추적 도구,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 소스, 팩트체크 등을 통해 복합적인 대책으로 해소할 수 있다”며 “공공과 민간이 협력해 기후 데이터 검증 프레임워크를 개발하는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기후대응을 위한 AI 활용에서는 △투명성 △정확성 △목적성의 원칙에 따를 것을 제안했다.

한국의 역할에 대한 기대

카스트로 부회장은 한국의 역할에도 주목하며 “한국의 강력한 기술 산업과 지속가능성에 대한 의지를 고려하면 에너지 투명성 표준을 주도하는 것은 물론 국경을 넘는 협력으로 책임감 있는 AI 혁신을 선도할 수 있을 것”이라고 높게 평가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