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상 이슈 공동 대응 시급…R&D 협력 및 제3국 진출도 과제로

국내 기업 10곳 중 6곳은 한국경제 성장을 위해 한국과 일본의 경제 협력이 필요하며, 특히 반도체·인공지능(AI) 등 첨단산업 분야에서 큰 시너지를 낼 수 있을 것으로 봤다.
19일 한국경제인협회가 한일 국교 정상화 60주년을 맞아 매출액 상위 1000대 기업(비금융사 대상·101개사 응답)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응답기업의 56.4%는 국교 정상화 이후 양국의 경제 협력이 한국경제 발전을 촉진했다고 평가했다.
경제 발전에 기여한 협력 분야로는 △기술 이전 및 협력 △일본 진출을 통한 시장 확대 △관광, 문화 산업 발전 △소재·부품·장비 등 공급망 안정화 등을 꼽았다.
응답기업의 62.4%는 한국경제 성장을 위해 한일 경제 협력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협력이 불필요하다는 의견은 3.0%에 불과했다. 또 88.1%는 경제 협력을 위해 안정적인 한일 관계가 중요하다고 답변했다.

일본과 협력했을 때 시너지 효과가 기대되는 산업으로는 △반도체 △AI 등 첨단산업을 비롯해 △자동차 △바이오·헬스케어 △조선 및 배터리 등으로 조사됐다.
국내 기업들은 가장 필요한 한일 경제 협력 방식으로 '보호무역주의 등 글로벌 통상 이슈 공동 대응'을 꼽았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상호관세 부과 등 대외 불확실성이 커지는 상황에서 양국의 공동 대응이 필요하다고 본 것이다.
△공동 연구 및 인재 육성 등 연구개발(R&D) 협력 △정상급 교류 확대 △제3국 공동 진출 등에 대한 필요성도 제기됐다.

현재 일본과 개별 협력 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기업 61개사 중 42.7%는 일본과의 협력이 비즈니스에 중요하다고 응답했다(△매우 중요 6.6% △중요한 편 36.1%).
일본과 협력 중인 국내기업 절반(49.2%)은 '일본과의 협력을 다른 국가로 대체하기 어렵거나 대체에 3년 이상이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구체적으로는 다른 국가로 대체하는 것이 어렵다는 기업 응답률이 21.3%, 3년 이상 소요된다는 기업이 27.9%로 각각 조사됐다.
김봉만 한경협 국제본부장은 "이번 조사를 통해 한일 경제 협력에 대한 우리 기업들의 높은 수요를 확인했다”며 “한경협은 첨단산업 등 유망 협력 분야를 중심으로 우리 기업들의 경제 영토 확장을 적극 지원하고, 일본 측 파트너인 일본경제단체연합회와의 협력도 더욱 강화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