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S 지나치게 통제”
“오픈AI 지분 더 달라”
오픈AI, 美국방부와 2억 달러 계약 체결

오픈AI가 마이크로소프트(MS)를 미국 당국에 반독점범 위반으로 제소를 논의하는 등 인공지능(AI) 파트너십 미래를 놓고 양측 긴장이 최고조에 달하고 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16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우호적인 협력 관계였던 양사 적대적 대립으로 치달을 가능성이 있는 것이다.
MS는 오픈AI와 2019년에 제휴 체결을 시작으로 누적으로 총 130억 달러(약 18조6000억원)를 투자해 지분 49%를 보유한 최대주주다.
WSJ이 인용한 소식통에 따르면 비영리기업인 오픈AI는 연말까지 공익법인(PBC)으로 전환을 추진하고 있는 가운데 최근 몇 주간 MS와의 협상이 난항을 겪고 있다.
오픈AI는 MS가 공익법인으로의 전환을 승인해 주길 원한다. MS의 승인은 더 많은 자금을 유치하고 증시에 상장하는 데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오픈AI는 이와 함께 기존 계약 조건도 재협상하려고 하고 있다. MS 외에 다른 클라우드 서비스업체들과도 제휴해 더 많은 고객에게 판매하고, 더 많은 컴퓨팅 자원에 접근하기 위해서다. 현재 MS는 오픈AI의 소프트웨어 도구를 자사의 애저 클라우드를 통해 독점 판매할 수 있으며, 오픈AI 기술에 우선 접근할 권리를 갖고 있다.
또 MS는 오픈AI가 공익법인으로 전환 시 더 많은 지분을 요구하고 있지만 오픈AI는 난색을 표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두 기업은 오픈AI가 인수한 코딩 스타트업 윈드서프의 지식재산권(IP) 처리 문제를 놓고도 충돌하고 있다. 현 계약상 MS는 오픈AI의 모든 IP에 접근할 수 있는데, 오픈AI는 윈드서프의 기술에 MS가 접근하는 것을 원치 않기 때문이다.
이렇게 접점을 찾지 못하자 오픈AI는 MS를 반경쟁적 행위로 제소하는 최후의 수단인 이른바 ‘핵 옵션’을 논의했다고 WSJ은 소식통을 인용해 전했다. 여기에는 연방 규제기관에 계약 조건이 반독점법 위반이 있는지 검토를 요청하는 것과 더불어 대중을 상대로 캠페인을 펼치는 것이 포함될 수 있다고 관계자들은 설명했다.
연방거래위원회(FTC)는 지난해 MS에 대한 광범위한 반독점 조사를 시작했다. 이 조사는 MS의 오픈AI 투자뿐 아니라, AI 관련 주요 기술 기업들의 투자 전반에 대한 내용도 포함됐다.
WSJ은 “이러한 움직임은 역사상 가장 성공적인 파트너십 중 하나로 알려진 두 회사의 약 6년간의 협력 관계를 위협할 수 있다”면서 “수년간 MS는 오픈AI의 기술에 조기에 접근할 수 있는 대가로 그 성장을 지원해왔지만, 이후 양측의 관계가 경쟁 구도로 전환되면서 공통분모를 찾기 어려워졌다”고 풀이했다.
실제 양사는 소비자용 챗봇부터 기업용 AI 도구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제품 영역에서 경쟁 중이다. 심지어 MS는 지난해 오픈AI의 경쟁사인 인플렉션AI 공동 창업자와 직원들을 대거 영입해 MS용 AI 모델을 비밀리에 개발하는 프로젝트를 착수하기도 했다.
오픈AI는 연말까지 공익법인으로 전환을 마무리해야 하며, 그렇지 않으면 이를 전제로 유치했던 투자금 가운데 200억 달러를 뱉어내야 한다.
한편 오픈AI는 이날 미 국방부에 AI 도구를 제공하는 2억 달러 규모의 계약을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계약기간은 내년 7월까지다. 오픈AI는 작년 12월 미국 무인 방위산업 업체 안두릴 인더스트리즈와 파트너십을 맺고 미군의 드론 방어 능력을 강화하는 프로젝트에 합류하는 등 미 국방부로 사업을 확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