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증권 "조·방·원이 이끄는 시총 판도 변화…바이오 뜨고 2차전지 주춤"

조선·방산·원전 관련주의 질주가 코스피 시가총액 지형을 바꾸고 있다. 견조한 실적과 트럼프 전 대통령의 보호무역 기조 재부각 속에서 ‘관세 무풍지대’로 평가받는 이들 업종이 투자자들의 주목을 끌고 있다.

태윤선 KB증권 연구원은 7일 “글로벌 지정학 불확실성과 미국의 통상 압박이 이어지는 가운데, 수주 증가세와 실적 모멘텀이 확인된 조선·방산·원전 업종이 코스피 주도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실제 지난해 초와 비교하면 지난달 말 기준 코스피 시가총액 상위 10위권에 한화에어로스페이스, HD현대중공업, KB금융이 새롭게 진입했다. 반면 POSCO홀딩스, NAVER, LG화학은 순위 밖으로 밀려났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와 HD현대중공업의 시가총액은 각각 453%, 217% 증가했다. 20위권에서는 한화오션(209%), HD한국조선해양(130%), 두산에너빌리티(81%)가 두각을 나타냈다. KB, 신한, 메리츠, 하나 등 4대 금융지주의 합산 시가총액도 54% 증가했다.

이 같은 흐름은 지난달 ‘한미 통상 협의’에서 조선업 협력이 주요 의제로 논의된 점, 유럽 중심의 방위비 증액, 미국 내 원전 재건 정책 강화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풀이된다. 태 연구원은 “조선·방산·원전 업종은 관세 영향에서 자유로운 데다, 실적 기반이 탄탄해 현 시점에서 매력도가 부각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코스닥 시장 역시 주도 업종이 교체되고 있다. 전기차 수요 둔화와 트럼프 리스크로 2024년 초 시총 1·2위였던 에코프로비엠과 에코프로의 합산 시가총액이 60% 이상 줄었다. 반면 알테오젠, 휴젤, 클래시스 등 바이오·헬스케어 종목들이 시총 상위권을 채우며 새 주역으로 떠올랐다. 주요 임상 파이프라인과 기술수출 기대감이 반영됐다는 설명이다.

태 연구원은 “트럼프 전 대통령의 관세정책은 유예·철회·조정 등 ‘유연한 패턴’이 반복되고 있다”며 “공포가 정점을 지나면서, 실적 기반의 업종 중심으로 차별화가 이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HD현대중공업, HD한국조선해양, 현대로템, 한국항공우주, 현대건설, 두산에너빌리티 등 실적 모멘텀과 정책 수혜가 맞물리는 종목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