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대대행 체제’ 넘겨받은 교육부 ‘당혹’…李 대행 “국정안정 최선”

의대·AI 교과서 등 산적 교육 과제 오석환 차관이 넘겨받아

▲이주호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2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국무위원 간담회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주호 대통령 권한대행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2일 권한대행직을 이어받게 되면서 교육부는 권한대행 체제 지원을 위한 지원단 구성 등에 나섰다. 미국발 관세 전쟁 대응과 더불어 대통령선거까지 치러야 하는 상황에서 초유의 ‘대대대행’ 체제를 맡게 된 교육부 내부에선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면서도 평정심을 유지하자는 분위기다.

이 대행은 이날 오전 0시부터 대선 당선자가 확정되는 6월 4일까지 33일간 권한대행을 맡게 됐다.

교육부는 전날 저녁 급하게 권한대행 지원을 위한 업무를 시작했다. 한덕수 전 국무총리와 최상목 전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의 잇따른 사퇴로 국무위원 서열 4위인 이주호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이날 대통령 권한대행 업무를 시작하면서다.

교육부 내부는 당혹스러운 분위기가 감지된다. 교육부 관계자 A 씨는 “잇따른 탄핵정국에 직원들끼리 우스갯소리로 (교육부가) ‘대대대행’이 되는 것 아니냐고 넘겼지만 현실이 될 줄 몰랐다”면서 “설마 했던 일이 하룻밤 사이에 벌어져 어안이 벙벙한 상태”라고 내부 분위기를 전했다.

정부 내부에서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경제 분야를 총괄했던 기획재정부도 대통령 권한대행 체제 당시 기재부 본연의 업무가 축소됐다. 그만큼 권한대행의 업무 비중이 크다는 것이다. 이에 이보다 규모가 작고 교육 등 분야에만 집중해 온 교육부가 권한대행 체제를 완전히 보좌할 수 있느냐는 것이다.

이에 교육부는 곧바로 김영곤 차관보를 단장으로 한 ‘대통령 권한대행 업무지원단’ 구성에 나섰다. 교육부를 주축으로 하되 유관 부처 공무원들도 대거 참여하는 방식이다.

지원단은 △기획·조정팀(교육부 정책기획관) △일정총괄팀(교육부 부총리 비서실장) △외교·안보팀(외교부 국장) △재난·치안팀(국무총리실 국장) △민생·경제팀(기획재정부 국장) 등 6개 팀으로 구성된다.

교육부 관계자 B 씨는 “평정심을 갖고 차분하게 대응하자는 분위기”라며 “권한대행이 주문한 대로 국정 안정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는 의지를 보이고 있다”고 밝혔다.

의대 현안과 인공지능(AI) 디지털교과서, 고교학점제 등 산적해 있는 교육부 주요 정책들은 오석환 차관 중심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교육부 관계자 C 씨는 “차관님 중심으로 그간 추진해 왔던 교육 개혁 과제들은 변함없이 추진해 갈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이날 이 대행은 출근 후 "무거운 책무를 맡게 돼 막중한 책임감을 느낀다"며 "대선을 한 달 앞둔 기간이기 때문에 공정한 선거관리에 중점을 두고 국회와 소통해 국정을 안정적으로 운영하겠다"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