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룻새 엄청난 가격 인상 이뤄지지 않아"
‘2개월 가격 동결’ 발표 후 판매실적 급등
현대자동차 최고경영자(CEO) 호세 무뇨스 사장이 “미국의 수입차 관세 25%가 부과에도 향후 몇 개월 동안은 가격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나아가 가격 인상 요인이 지속해도 이를 최소한의 폭으로 점진적으로 인상, 시장 충격을 완화하겠다고 공언했다.
무뇨스 사장은 15일(현지시간) 미국 블룸버그통신과의 인터뷰에서 이같이 말하고 “하룻밤 사이에 엄청난 가격 인상이 이뤄지지 않을 것”이라며 “(가격은) 시장이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블룸버그는 이와 관련해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관세 정책에 따라 올해 미국 내 자동차 가격이 급등할 수 있다는 업계 일부의 전망과 소비자들의 우려를 반박하는 견해”라고 전했다.
무뇨스 사장은 자동차 제조업체가 부담하는 관세 비용의 영향이 모델의 가격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업체들이 상대적으로 저렴한 모델에 대해서는 단기적인 수익성 악화를 감수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그는 “소형차 가격이 3000∼4000달러(429만∼571만 원)씩 오르지는 않을 것”이라며 “그 시장의 고객은 가격에 민감하다. 가격을 그렇게 올리면 차를 사지 않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시장조사기관 앤더슨 이코노믹 그룹(Anderson Economic Group)은 “관세 부과로 인해 저가 시장에서 신차 1대당 2500달러(약 360만 원)의 추가 비용이 발생할 수 있다”라며 “고급차의 경우 최대 2만 달러(약 2850만 원)까지 추가 비용이 발생할 수 있다”고 추산했다.
이달 초 현대차는 25%에 달하는 수입차 관세가 부과돼도 미국 판매 가격을 2개월 동안 인상하지 않겠다고 발표했다. 무뇨스 사장은 “이후 판매실적이 매우 강하게 나타나고 있다”고 인터뷰에서 밝혔다.
블룸버그는 “25% 관세 비용이 고급 제품군(제네시스)에 집중될 수 있다”라면서 “단기적으로 저가형 모델의 수익성을 포기하더라도 이를 통해 시장 공략을 이어갈 수 있다”라고 보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