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선룰, 이미 지나간 일…최선 다해 경선 임할 것”
“김경수와 단일화? 시기상조…반명 빅텐트, 정치공학적”
“추경, 최대 50조까지 추진해야”…당 감세 정책 비판도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15일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 레이스에 본격적으로 뛰어들었다. 김 지사는 경제와 국민 통합, 글로벌 문제를 가장 잘 해결할 수 있는 후보는 자신이라며 경쟁력을 강조했다.
김 지사는 이날 오후 3시 30분 서울 여의도 민주당 당사를 찾아 예비후보자 등록 접수처에 서류를 제출했다.
김 지사는 예비후보 등록 서류 접수를 마친 뒤 기자들과 만나 “김동연은 점점 더 세진다. 많은 당원 동지 여러분이 경선 흥행의 빨간불을 걱정하지만, 반드시 파란불을 켜겠다”며 “돌풍을 불러일으키겠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어대명(어차피 대통령은 이재명)이 아니라 어대국”이라며 “어차피 대통령은 국민이 뽑는다. 제게는 계파도 조직도 없지만, 나라를 걱정하고 경제를 걱정하는 국민 여러분이 제 계파이자 조직”이라고 말했다.
김 지사는 “당당하고 정직한 경제 대통령이 되겠다”며 추가경정예산 편성도 언급했다. 그는 “경제의 시간은 정치의 시간을 기다려주지 않는다. 선거는 선거고 경제는 경제”라며 “최근 추경 12조 원 이야기가 나오고 있는데, 지금의 어려운 경제와 민생을 봐서는 최소 30조 원에서 50조 원까지 가는 추경을 반드시 정치권과 정부에서 처리해주길 바란다”고 촉구하기도 했다.
당의 감세 정책 기조에 대해서는 “선거 일정을 앞두고 인기 영합적인 감세 정책이 정치권에서 벌어지고 있는 것에 대해 비판적이다. 정치권이 감세 기조로 가는 것은 대단히 잘못된 것”이라며 쓴소리도 아끼지 않았다. 이어 “시간을 두고 이야기하면 충분히 당과 협력하고, 당을 설득할 수 있다. 제가 대통령 후보가 된다면 포퓰리즘보다는 대한민국이 나아갈 길에 맞는 비전과 정책으로의 조정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 지사는 잡음이 불거진 ‘국민참여경선(권리당원 투표 50%·일반 국민 여론조사 50%)’ 방식의 경선룰과 관련해서는 수용하겠다는 의사를 거듭 밝혔다. 그는 “하고 싶은 이야기가 많고 국민경선제에 대한 전통과 원칙이 깨진 것에 대한 안타까운 마음이 있지만 이미 지나간 일이고, 이젠 정해진 규칙 하에서 최선을 다해 경선에 임하겠다”고 말했다.
김 지사는 대통령에 당선된다면 국민의힘과의 협치에도 자신 있다고 밝혔다. 그는 “통합을 위해서는 대화하고 끌어안고, 필요한 인재가 있다면 탕평책을 쓰고, 필요하다면 대통령이 야당의 당사를 찾아서라도 대화하고 소통하는 모습을 보이겠다”며 “국민의힘 뿐만 아니라 다양한 정치세력을 포괄하는 통합의 정치, 연합의 정치를 하겠다”고 역설했다.
다만 그는 김경수 전 지사와의 단일화 여부와 국민의힘 후보들이 주장하는 ‘반명(반이재명) 빅텐트’에 대해서는 선을 그었다. 김 지사는 “김경수 전 지사도 오늘 후보 등록을 했기 때문에 단일화를 논의하는 건 적절치 않은 시간”이라며 “빅텐트 얘기도 듣고 있지만, 정치 공학으로 선거판을 이끌어 가는 것을 바라지 않는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