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 전쟁 속 전문가들 “韓, 美와 조선·에너지·AI 협력으로 기회 찾아야”

대한상의·한미협회, 한미 산업협력 콘퍼런스
조선·방산, 에너지, AI·반도체 전문가 총출동

원본보기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 워싱턴 백악관 집무실에서 행정명령에 서명한 뒤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글로벌 관세전쟁이 본격화된 가운데 한·미 전문가들은 한국과 미국이 조선과 에너지, 인공지능(AI) 산업 협력으로 기회를 찾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대한상공회의소와 한미협회는 15일 대한상의에서 개최한 '한미 산업 협력 콘퍼런스'에서 한·미 산업 협력이 유력한 조선·방산과 에너지, AI·반도체 분야의 구체적인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우선 조선·방산 분야 전문가들은 미국의 함정 노후화와 건조 능력 부족을 지적하면서 유지·보수·정비(MRO)와 건조 분야에 양국의 협력 기회가 있다고 봤다.

로버트 피터스 헤리티지 재단 선임연구원은 “미국의 함정, 항공기, 탄약은 유사시 전력 대응에 충분하지 않다”라면서 “한국과의 MRO 협력은 전시에 미국 본토로 돌아가지 않고 한국에서 빠르게 전투함을 수리할 수 있다는 의미와 평시에는 미국 조선소의 여유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고 전했다.

그는 “건조 분야에서도 협력을 이루기 위해선 미국 내 항구를 오가는 화물은 미국산 선박만 운송할 수 있게 한 존스법을 폐지해야 한다”며 “한·미 양국이 상호 국방조달협정(RDP)을 체결해 한국산 무기 체계를 더 유연하게 확보할 수 있게 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우만 HD현대중공업 상무는 “미국 함정의 MRO 지원을 본격화하고 건조 분야까지 협력 범위를 확대해 나간다면 미 해군의 전투 준비 태세 향상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라면서 “미국의 존스법, 번스-톨레프슨법으로 선박과 함정을 해외에서 건조하는 것은 원칙적으로 금지돼 있어 법적 규제 선결이 필수적”이라고 전했다.

에너지 분야의 경우 액화천연가스(LNG)의 대미 수입 확대와 원전 협력 강화를 과제로 제시했다. 트럼프 1기 행정부에서 에너지부 차관을 지낸 마크 메네즈 미국에너지협회 회장은 영상 발표에서 “대미 무역 흑자 완화를 목표한다면 미국산 LNG 수입 확대가 좋은 선택지가 될 수 있다”고 했다.

마크 메네즈 협회장은 원전 협력과 관련해선 “미국의 원천 기술·연구 역량과 한국의 건설·운전 경험이 결합하면 원자력은 양국의 공동 에너지전략에서 핵심 축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AI·반도체 전문가들은 AI 파운데이션 모델 협력과 응용 서비스 강화를 주문했다. 김창욱 BCG MD파트너는 “미국이 선도하고 있는 AI 모델을 한국 기업들이 활용할 수 있게 협력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반대급부로 AI 빅테크 기업은 한국에 데이터센터를 설립할 때 설비 투자 비용을 분담하거나 GPU를 임대하는 방식을 검토해 볼 수 있다”고 강조했다.

마틴 초르젬파 피터슨국제경제연구소 선임연구원은 “한국은 AI 확산 규칙(AI diffusion rule)에서 미국산 AI 반도체 수입 제한이 없는 몇 안 되는 국가 중 하나”라며 “규제를 받는 중국, 인도 등 경쟁국과 비교해 경쟁우위를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고 진단했다.

마이크 예 마이크로소프트 정책협력법무실 아시아 총괄대표는 “한국 반도체 제조업체들과의 협력이 강화될수록 AI 기술의 확산과 적용 속도도 더욱 올릴 것”이라고 덧붙였다.

박일준 대한상의 상근부회장은 “한·미 양국은 '협상의 시간'으로 넘어가고 있다”라면서 “트럼프 정부가 얘기하고 있는 무역적자 해소와 미국 내 제조 역량 강화에 대한 근본적 방안은 양국 간 전략적 시너지를 낼 수 있는 산업 협력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