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 트럼프, 기술 관세 “예외 없다”면서 유연성도 강조...산업계 혼선 가중

“반도체·아이폰 관세 곧 발표…유연성 있을 것”
美 상무 “제외 품목은 반도체 관세에 포함”
“대규모 혼란, 업계·투자자에게 아찔”

원본보기
▲전자제품 관세에 대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오락가락 발언에 산업계가 혼란에 빠졌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반도체와 스마트폰에 대한 관세를 예고하면서 산업계가 잔뜩 긴장하고 있다.

13일(현지시간)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에어포스원 기내에서 기자들에게 “반도체 관세율을 다음 주 중 발표할 것”이라며 “확실하진 않지만 몇몇 기업들엔 유연성이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아이폰 관세가 곧 발표될 것”이라며 “이것도 어느 정도 유연성을 보여야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앞서 이날 자신의 소셜미디어(SNS) 트루스소셜에서도 스마트폰 등 전자제품에 대한 관세 면제가 일시적인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11일 발표된 것은 관세 예외가 아니다”라며 “이들 제품은 기존 20% 펜타닐 관세가 적용되며 단지 다른 관세 범주로 이동하고 있을 뿐”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다가오는 국가 안보 관세 조사에서 반도체와 전체 전자 공급망을 살펴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장관도 ABC방송의 디스위크에 출연해 “11일 상호관세 적용에서 제외된 제품은 반도체에 부과하는 품목별 관세 대상으로 넘어간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 모든 제품은 반도체에 포함될 것이며, 특별하게 집중된 유형의 관세가 부과될 것”이라며 “1~2개월 후 도입될 반도체 관세에 포함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이들은 국가 안보에 관여된 것으로 미국에서 제조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앞서 미국 관세국경보호국(CBP)은 11일 오후 반도체 제조 장비, 스마트폰, 평면 디스플레이 모듈, 컴퓨터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다이오드와 트랜지스터를 포함한 반도체 장치, 집적회로 등을 상호관세 부과 대상에서 제외한다고 공지했다. 이는 트럼프 대통령이 강경한 관세 드라이브에서 한발 뒤로 물러난 것으로 해석됐으며, 관련 기업들은 가슴을 쓸어내렸다. 하지만 하루 만에 백악관이 이들 제품에는 상호관세가 아닌 품목별 관세가 적용될 예정이라고 밝히면서 산업계의 혼란이 커지고 있다. 특히 스마트폰의 경우 예외 적용을 사실상 번복한 셈이어서 기업들이 냉·온탕을 오가는 모습이다.

더욱이 트럼프 대통령의 이러한 오락가락 관세 정책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1월 취임 이후 여러 무역 상대국에 파괴적인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위협했다가 결국 유예하거나 중단했다. 수차례 예고했던 전 세계를 상대로 한 상호관세 부과도 발효 13시간 만에 돌연 90일간 유예했다.

대니얼 아이브스 웨드부시증권 글로벌 기술 연구 책임자는 “백악관에서 끊임없이 흘러나오는 뉴스로 인해 발생하는 대규모 혼란은 업계와 투자자들에게 아찔한 일”이라며 “공급망, 재고, 수요를 계획하려는 기업들에 엄청난 불확실성과 혼란을 초래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