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채권시장, 9·11 이후 최악 혼란…중국·일본 투매설 돌아

10년물 미국채 금리, 한 주간 0.50%p↑
23년 5개월 만에 가장 큰 상승폭
중국, 세계 2위 미국채 보유국…해외에도 상당량 있어
6월쯤 외환보유고 통해 짐작 가능
일본도 대규모 매도 주체로 지목돼

원본보기
▲사진은 미국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11일(현지시간) 한 트레이더가 모니터를 손으로 가리키며 수치를 확인하고 있다. 뉴욕/AFP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상호관세’ 타격으로 지난주 채권시장에 대규모 투매 현상이 일어났다. 그 배후에 중국이 있는지를 두고 논란이 일고 있다고 블룸버그통신이 12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영국 금융정보업체 LSEG에 따르면 뉴욕 채권시장에서 지난주 마지막 거래일인 전날 미국 채권금리 벤치마크 역할을 하는 10년 만기 미국 국채 금리는 전일보다 0.07%포인트(p) 오른 4.49%로 마감했다. 특히 지난주 5거래일 간의 주간 상승 폭은 0.50%p로 2001년 9·11 테러 이후인 2001년 11월 12~16일(0.55%p) 이후 23년 5개월 만에 가장 큰 상승 폭을 나타냈다고 일본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은 강조했다. 채권 금리가 상승하면 가격은 하락한다.

미국 주식시장이 급락하면서 대표적인 안전자산으로 꼽히는 미국 국채 가격은 오를 것으로 예견됐으나 오히려 투매 현상이 일어난 것에 월가에서는 해석이 분분하다.

전문가들은 기본적으로 트럼프발 폭탄 관세로 인한 미국의 인플레이션 급등과 막대한 재정적자 심화 우려가 작용했다고 보고 있다. 헤지펀드들이 주가 급락 등으로 ‘마진콜(투자 손실로 인해 발생하는 추가 증거금 요구)’ 압박을 받으면서 현금 확보를 위해 국채를 대량으로 매도한 것도 원인으로 추정됐다.

이와 함께 미국 국채를 대량 보유하고 있는 중국이 이를 적극적으로 내다 팔았다는 관측도 제기됐다. SMBC닛코증권의 오쿠무라 아타루 수석 금리 전략가는 투자자 메모에서 “중국이 관세에 대한 보복으로 미국 국채를 매도하고 있을 수 있다”면서 “중국은 협상력을 높이기 위해 글로벌 금융시장에 혼란을 일으키는 것을 주저하지 않을 것이란 신호를 보낼 동기가 있다”고 추정했다.

중국은 트럼프 1기 당시 미국과 무역갈등이 심화한 이후 미국채 보유량을 점진적으로 줄여왔다. 이에 세계 최대 미국채 보유국 지위를 일본에 내줬다. 미국 재무부 집계에 따르면 1월 기준 중국은 미국채를 7608억 달러(약 1085조 원) 보유하고 있다. 일본은 1조793억 달러다. 여전히 중국은 비공식적으로도 해외 다른 국가 계좌를 통해 미국채를 다량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반면 중국 투매설에 대한 반론도 만만치 않다. TD증권의 프라샨트 네워나 전략가는 “이번 미국채 매도는 주로 장기물 부분에서 일어나고 있다”면서 “중국이 매도를 주도하고 있지 않다고 본다”고 말했다. 중국이 최근 몇 년간 신규 발행된 미국채 매입을 줄이면서 보유한 채권의 만기가 짧아지고 있어 투매설은 실상과 다르다는 것이다.

또 미국채 가격이 하락하면 달러화 가치가 떨어짐에 따라 중국이 보유한 외환보유고가 감소하게 된다. 즉 중국이 보유자산 가치를 스스로 깎아내리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달러 약세로 상대적으로 위안화 가치가 상승하면 수출 가격 급등으로 중국도 내상을 입을 수 있다.

블룸버그는 중국의 투매는 6월께야 짐작해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5월 말이 돼야 중국의 4월 외환보유고 변화를 알 수 있고, 더 명확한 자료는 6월 중순에 공개되는 미 재무부 지표를 봐야 한다는 것이다.

일본도 미국 국채를 던지고 있다는 가능성이 제기됐다. 앞서 미 폭스뉴스 등은 10일 “미국채 10년물과 30년물 금리가 급등한 것은 누군가 미국채를 매도했기 때문”이라며 “이를 매도한 주체는 세계 최대 미국채 보유국인 일본”이라고 지목했다. 그러나 일본 정부는 미국 관세에 대한 대응으로 미국채를 매각하는 것은 전혀 고려하고 있지 않다고 강조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