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안산선 복선전철 5-2공구 현장 붕괴 사고 발생 사흘째인 13일 경기 광명시 신안산선 지하터널 공사 현장이 통제되고 있다. 앞서 11일 오후 3시13분 포스코이앤씨가 시공하는 신안산선 복선전철 5-2공구 지하터널 내부 가운데 기둥에 균열이 발생하면서 지하 공사 현장과 상부 도로 50m가량이 붕괴했다. 이 사고로 1명이 고립됐다가 구조됐으며, 1명이 실종됐다. 당시 현장에는 작업자 18명이 있었는데 나머지 16명은 무사히 대피했다. 조현호 기자 hyunho@
▲신안산선 복선전철 5-2공구 현장 붕괴 사고 발생 사흘째인 13일 경기 광명시 신안산선 지하터널 공사 현장이 통제되고 있다. 앞서 11일 오후 3시13분 포스코이앤씨가 시공하는 신안산선 복선전철 5-2공구 지하터널 내부 가운데 기둥에 균열이 발생하면서 지하 공사 현장과 상부 도로 50m가량이 붕괴했다. 이 사고로 1명이 고립됐다가 구조됐으며, 1명이 실종됐다. 당시 현장에는 작업자 18명이 있었는데 나머지 16명은 무사히 대피했다. 조현호 기자 hyunho@
▲신안산선 복선전철 5-2공구 현장 붕괴 사고 발생 사흘째인 13일 경기 광명시 신안산선 지하터널 공사 현장이 통제되고 있다. 앞서 11일 오후 3시13분 포스코이앤씨가 시공하는 신안산선 복선전철 5-2공구 지하터널 내부 가운데 기둥에 균열이 발생하면서 지하 공사 현장과 상부 도로 50m가량이 붕괴했다. 이 사고로 1명이 고립됐다가 구조됐으며, 1명이 실종됐다. 당시 현장에는 작업자 18명이 있었는데 나머지 16명은 무사히 대피했다. 조현호 기자 hyunho@
▲신안산선 복선전철 5-2공구 현장 붕괴 사고 발생 사흘째인 13일 경기 광명시 신안산선 지하터널 공사 현장이 통제되고 있다. 앞서 11일 오후 3시13분 포스코이앤씨가 시공하는 신안산선 복선전철 5-2공구 지하터널 내부 가운데 기둥에 균열이 발생하면서 지하 공사 현장과 상부 도로 50m가량이 붕괴했다. 이 사고로 1명이 고립됐다가 구조됐으며, 1명이 실종됐다. 당시 현장에는 작업자 18명이 있었는데 나머지 16명은 무사히 대피했다. 조현호 기자 hyunho@
▲신안산선 복선전철 5-2공구 현장 붕괴 사고 발생 사흘째인 13일 경기 광명시 신안산선 지하터널 공사 현장이 통제되고 있다. 앞서 11일 오후 3시13분 포스코이앤씨가 시공하는 신안산선 복선전철 5-2공구 지하터널 내부 가운데 기둥에 균열이 발생하면서 지하 공사 현장과 상부 도로 50m가량이 붕괴했다. 이 사고로 1명이 고립됐다가 구조됐으며, 1명이 실종됐다. 당시 현장에는 작업자 18명이 있었는데 나머지 16명은 무사히 대피했다. 조현호 기자 hyunho@
▲신안산선 복선전철 5-2공구 현장 붕괴 사고 발생 사흘째인 13일 경기 광명시 신안산선 지하터널 공사 현장이 통제되고 있다. 앞서 11일 오후 3시13분 포스코이앤씨가 시공하는 신안산선 복선전철 5-2공구 지하터널 내부 가운데 기둥에 균열이 발생하면서 지하 공사 현장과 상부 도로 50m가량이 붕괴했다. 이 사고로 1명이 고립됐다가 구조됐으며, 1명이 실종됐다. 당시 현장에는 작업자 18명이 있었는데 나머지 16명은 무사히 대피했다. 조현호 기자 hyunho@
▲신안산선 복선전철 5-2공구 현장 붕괴 사고 발생 사흘째인 13일 경기 광명시 신안산선 지하터널 공사 현장이 통제되고 있다. 앞서 11일 오후 3시13분 포스코이앤씨가 시공하는 신안산선 복선전철 5-2공구 지하터널 내부 가운데 기둥에 균열이 발생하면서 지하 공사 현장과 상부 도로 50m가량이 붕괴했다. 이 사고로 1명이 고립됐다가 구조됐으며, 1명이 실종됐다. 당시 현장에는 작업자 18명이 있었는데 나머지 16명은 무사히 대피했다. 조현호 기자 hyunho@
▲신안산선 복선전철 5-2공구 현장 붕괴 사고 발생 사흘째인 13일 경기 광명시 신안산선 지하터널 공사 현장이 통제되고 있다. 앞서 11일 오후 3시13분 포스코이앤씨가 시공하는 신안산선 복선전철 5-2공구 지하터널 내부 가운데 기둥에 균열이 발생하면서 지하 공사 현장과 상부 도로 50m가량이 붕괴했다. 이 사고로 1명이 고립됐다가 구조됐으며, 1명이 실종됐다. 당시 현장에는 작업자 18명이 있었는데 나머지 16명은 무사히 대피했다. 조현호 기자 hyunho@
▲신안산선 복선전철 5-2공구 현장 붕괴 사고 발생 사흘째인 13일 경기 광명시 신안산선 지하터널 공사 현장이 통제되고 있다. 앞서 11일 오후 3시13분 포스코이앤씨가 시공하는 신안산선 복선전철 5-2공구 지하터널 내부 가운데 기둥에 균열이 발생하면서 지하 공사 현장과 상부 도로 50m가량이 붕괴했다. 이 사고로 1명이 고립됐다가 구조됐으며, 1명이 실종됐다. 당시 현장에는 작업자 18명이 있었는데 나머지 16명은 무사히 대피했다. 조현호 기자 hyunho@
▲신안산선 복선전철 5-2공구 현장 붕괴 사고 발생 사흘째인 13일 경기 광명시 신안산선 지하터널 공사 현장이 통제되고 있다. 앞서 11일 오후 3시13분 포스코이앤씨가 시공하는 신안산선 복선전철 5-2공구 지하터널 내부 가운데 기둥에 균열이 발생하면서 지하 공사 현장과 상부 도로 50m가량이 붕괴했다. 이 사고로 1명이 고립됐다가 구조됐으며, 1명이 실종됐다. 당시 현장에는 작업자 18명이 있었는데 나머지 16명은 무사히 대피했다. 조현호 기자 hyunho@
신안산선 복선전철 5-2공구 현장 붕괴 사고 발생 사흘째인 13일 경기 광명시 신안산선 지하터널 공사 현장이 통제되고 있다. 앞서 11일 오후 3시13분 포스코이앤씨가 시공하는 신안산선 복선전철 5-2공구 지하터널 내부 가운데 기둥에 균열이 발생하면서 지하 공사 현장과 상부 도로 50m가량이 붕괴했다. 이 사고로 1명이 고립됐다가 구조됐으며, 1명이 실종됐다. 당시 현장에는 작업자 18명이 있었는데 나머지 16명은 무사히 대피했다. 조현호 기자 hyunh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