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결 배경 “금리 3회 인하 정책효과·환율 부담”
인하 배경 “관세정책 시나리오 비관에 가까워져…동결→인하 변경”
13일 본지가 채권·경제전문가 13명을 대상으로 이달 금통위의 통화정책방향(통방) 결정 전망을 설문한 결과 응답자 12명이 ‘기준금리 동결’을 예상했다. 1명은 0.25%포인트(p) 인하를 전망했다. 동결 응답자 중 5명은 만장일치를, 나머지는 1~2명의 인하 소수의견이 있을 것으로 각각 내다봤다. 인하 응답자는 동결 소수의견이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전문가들은 미국의 관세정책이 예상보다 강하고 예측하기 어려운 만큼 경기 대응 측면에서 금리 인하의 필요성이 있다는 점에서는 공통된 견해를 밝혔다. 그러나 관세정책의 불확실성과 원·달러 환율 레벨이 여전히 높은 점을 고려해 이달에는 기준금리를 동결할 것으로 내다봤다. 가계부채 증가 가능성도 금리 인하의 부담으로 작용할 것으로 짚었다.
윤여삼 메리츠증권 연구원은 “경기여건만 생각하면 4월에도 인하가 필요한 상황”이라며 “트럼프 관세 불확실성이 상존한 가운데, 중립금리 하단 수준에서 금리인하의 여유를 확보해야 한다는 점에서 5월 정도 인하 시점으로 판단한다”고 분석했다. 이어 “(통방 결정의) 우선순위는 경기안정(내수)에 방점을 두겠으나 금융안정 측면에서 신중론 입장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고 부연했다.공동락 대신증권 연구원은 “미국발 관세 충격 등 높아진 경기 하방 위험에 대비하기 위한 완화적인 통화정책의 필요성이 고조되고 있다”며 “탄핵 인용에 따른 정치적 불확실성 해소에 따른 기준금리 인하 기대의 구체화 등도 추가적인 금리 인하에 대한 예상을 강화할 것”이라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다만 3월 서울 일부 지역의 부동산 가격 상승과 가계대출 증가에 따른 금융안정 우려를 감안할 때 2월에 이어 연속적인 기준금리 인하보다는 시차를 둔 인하 재개 가능성에 무게를 둔다”고 분석했다.
조용구 신영증권 연구원도 “트럼프 보편관세 부과에 따른 경기 하방압력이 높아짐에 따라 경기 대응 필요성은 다소 높아졌다”며 “그러나 경제에 미치는 영향과 관세정책의 불확실성(유예, 협상 등)을 조금 더 지켜볼 필요가 있고, 정책 여력 및 금리 인하 효과, 금융안정 측면에서 환율과 서울 부동산시장, 가계부채 경계 관점 등에서 만장일치를 예상한다”고 전망했다.
안재균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동결을 전망하면서 ‘깜짝 인하’ 가능성도 짚었다. 안 연구원은 “다만 깜짝 인하 가능성을 기존 대비 높게 설정하고 있다”며 “트럼프 정부가 부과한 한국 관세율이 예상보다 높게 나타났고, 이에 따른 성장 둔화 우려가 커질 여지가 생겼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대내외 경제 상황이 급변하고 있는 상황을 반증하듯 전문가들도 전망을 수정하고 있다.
조영무 LG경영연구원 연구위원은 당초 4월에 0.25%p 인하할 것으로 예상했으나 동결로 전망을 변경했다. 조 연구위원은 “부진한 한국 경제 성장률은 인하 요인이지만 원화 가치 하락, 가계부채 증가세 등이 인하 저지 요인”이라며 “이번 금통위에서 환율 안정을 중시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분석했다.
이와 반대로 민지희 미래에셋증권 연구원은 동결에서 인하로 전망을 수정했다. 민 연구원은 “관세정책 시나리오가 한은이 2월에 전망한 비관 시나리오에 가까워지고 있다”며 “경기에 대한 우려가 커졌고 미국 경기 침체 우려에 연준 금리 인하 기대도 강화된 점을 감안해 4월 인하 전망으로 변경한다”고 진단했다.
올해 최종 기준금리가 2.0%까지 하락할 가능성이 커졌다는 분석도 나왔다. 최제민 현대차증권 연구원은 “5월 금리 인하 이후 4분기 인하로 최종금리는 2.25%를 예상하고 있다”며 “다만 관세 이슈로 인한 경기 하방 리스크가 더 커질 가능성이 있으므로 금리 인하 시기가 앞당겨질 가능성과 최종금리가 2.0%로 될 가능성이 이전보다 높아(15→30%)진 것으로 판단된다”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