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성차 업계, 올해 임단협 쟁점 산적…시작도 전에 진통 예고

현대차부터 내달 협상 돌입
"국내 투자 없는 해외 투자 중단"
노조 측 만 64세로 정년 늘리고
투자ㆍ고용 '명문화' 사측에 요구
기아 통상임금 미지급 법정 다툼
현대차 성과연봉제 도입 등 쟁점
한국지엠 철수설 놓고 대립 전망

원본보기
▲완성업차 업계 올해 주요 임단협 쟁점 (이투데이DB)

완성차 업계가 내달부터 본격적인 임금 및 단체협약(임단협)에 돌입하는 가운데 올해는 노사 갈등이 더욱 극심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정년 연장, 통상임금, 성과급 규모와 국내 고용 안정 등 노사 간 첨예한 쟁점들이 산적해서다. 글로벌 경기 침체와 미국의 관세 부과 등으로 녹록지 않은 경영환경에 처한 가운데 노조 리스크까지 덮치면서 기업들의 한숨도 깊어지는 모양새다.

13일 완성차 업계에 따르면 현대자동차와 기아는 올해 임단협 테이블에 올릴 안건을 확정하기 위한 정기대의원대회를 진행 중이다. 현대차는 내달 노사 상견례를 시작으로 임단협을 개시할 전망이다. 통상 완성차 업계는 ‘맏형’격인 현대차가 5월 임단협을 시작하면 다른 기업도 순차적으로 돌입한다.

현대차·기아의 올해 임단협 주요 쟁점으로는 △정년 연장 △국내 투자 확대 △통상임금 △연봉 인상률과 성과금 규모 등이 꼽힌다. 굵직한 사안들이 대거 포함된 만큼 임단협 체결까지 적잖은 진통이 예상된다.

현대차·기아 노조는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국민연금 수급과 연계한 정년 연장을 핵심 요구안으로 테이블에 올릴 전망이다. 노조는 현재 만 60세인 정년을 국민연금 지급 시기에 맞춰 만 64세까지 늘릴 것을 요구한다. 하지만 사측은 정년 연장은 사회적 합의와 법 개정을 통해 해결해야 하는 문제라는 입장을 견지 중이다.

최근 현대차그룹의 해외 투자 확대 발표 역시 노사 간의 갈등 요소로 떠올랐다. 현대차그룹은 미국 정부의 관세정책에 따른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현지에 210억 달러(약 31조 원) 규모의 투자를 결단했다. 노조는 사측에 국내에도 대규모 투자를 통한 고용 안정 방안을 명문화할 것을 주장하고 있다.

기아 노조는 최근 소식지를 통해 “국내 공장 투자 없는 해외 투자를 즉각 중단할 것을 강력 촉구한다”며 “올해 임단협에서 국내 공장 고용 안정 확보 방안을 반드시 쟁취할 것”이라고 밝히기도 했다.

통상임금 문제 역시 주요 쟁점이다. 지난해 12월 대법원 전원합의체는 주휴수당, 유급휴일수당, 연차수당 등을 통상임금에 포함하는 취지의 판결을 내렸다. 기아는 사측에 누락된 통상임금을 돌려달라는 취지의 소송을 2월 제기했다. 현대차도 통상임금 미반영 항목을 올해 임단협 테이블에 올리겠다는 방침이다.

원본보기
▲9일 경기도 평택항에서 수출 대기 중인 자동차. (사진=연합뉴스)

연봉 인상률과 성과금 규모를 두고도 갈등이 예상된다. 기아는 지난해 12조 원이 넘는 영업이익을 기록하며 역대 최대 실적을 올렸다. 노조는 이에 걸맞은 최대 보상을 요구한다. 현대차 역시 호실적을 낸 만큼 성과금에 대한 기대가 높은 상황이다. 노조 측은 성과금 협상은 작년 실적을 기반으로 한 만큼 높은 보상이 합당하다는 주장이지만, 사측에서는 어려운 경영환경을 앞세워 양보를 구할 가능성이 크다.

현대차의 경우 연구직과 일반직 사원·대리급 직원들을 대상으로 한 임금체계 개편도 쟁점으로 떠오를 조짐이다. 기아는 지난해 임단협에서 호봉제를 폐지하고 성과연봉제를 적용하는 내용의 임금체계 개편에 합의했으나 현대차는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

미국 관세 이슈로 철수설에 시달리고 있는 GM 한국사업장(한국지엠)도 올해 임단협에서 대립이 예상된다. 노조는 철수설 우려를 해소하기 위해 국내 투자와 고용 안정 등을 요구할 가능성이 점쳐진다. 앞서 한국지엠 노조는 지난달 미국의 GM 본사를 방문해 국내 신규 생산 모델 배정 등을 요청한 바 있다.

업계 관계자는 “올해는 특히 어려운 경영환경에 대응해야 하는 사측의 입장과 고용 안정성 등을 사수해야 하는 노조 측의 입장 차가 큰 상황이라 임단협 타결이 쉽지 않을 것”이라면서 “임단협 과정에서 노조가 파업이라도 벌이게 되면 상황이 더욱 어려워질 수 있어 업계의 우려가 큰 상황”이라고 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