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제 국가들이 부담 느낀다는 것”
“미국 소비자에게만 전가된다면 부담 없어야”
러시아 관세 제외는 “종전 협상중이기 때문”
미국 백악관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상호관세를 발표한 이후 50개 이상 국가들이 협상을 요청해왔다고 밝혔다.
케빈 해싯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NEC) 위원장은 6일(현지시간) ABC방송 인터뷰에서 “50개 이상의 국가가 대통령에게 협상 개시를 요청해왔다는 보고를 미 무역대표부(USTR)로부터 받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는 국가들이 실제로 많은 부담을 느끼고 있다는 뜻”이라고 덧붙였다.
이어 “미국 소비자에게는 큰 영향이 없을 것”이라며 “미국 소비자들이 그 비용을 전부 부담해야 한다면 다른 나라들이 굳이 화낼 이유가 없다”고 부연했다.
또 “공급은 비탄력적”이라며 물건을 팔아야 하는 상황이 되면 관세가 부과되더라도 가격을 무조건 올릴 수 없기 때문에 가격 인상에 부담을 덜 느낀다고 주장했다.
즉 가격이 어느 정도 오를 수는 있지만, 미국이 부과한 관세가 미국 소비자에게 큰 부담으로 돌아올 것이었다면 “중국이 세계무역기구(WTO)에 가입한 이후 30년간 지속돼 온 (미국의) 무역적자가 줄어들었을 것”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해싯 위원장은 또한 “(중국산) 값싼 상품이 답이라면, 미국의 실질 임금과 실질 복지를 향상할 수 있다면, 그 기간 실질소득이 증가했을 것이지만 실질 소득은 감소했다”며 “임금이 물가가 떨어진 것보다 더 많이 하락했기 때문”이라는 입장이다.
이것이 트럼프 대통령이 ‘우리 노동자를 공정하게 대우하는 정책이 필요하다’고 주장해온 이유이기도 하다고 그는 짚었다.
해싯 위원장은 “우리는 식료품점에서 값싼 물건을 사게 됐지만, 그 결과 일자리가 줄었다”며 “(버락) 오바마 (전) 대통령과 낸시 펠로시(전 하원의장), 트럼프 대통령이 더 나은 정책, 우리 노동자를 공정하게 대우하는 정책을 말하게 된 것”이라고 전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연방준비제도(Fed·연준)에 금리 인하를 압박한다는 지적에는 “연준의 독립성을 존중한다”면서 “대통령도 의견을 개진할 수는 있지만, 연준에 대한 정치적 강압은 없을 것”이라고 답했다.
한편 ‘러시아가 이번 상호관세 대상에서 제외된 이유’를 묻는 말에는 “러시아-우크라이나 간 협상이 진행중이지 않냐”며 “트럼프 대통령은 그 문제에 새로운 사안을 더하지 않기로 결정한 것이다. 특별대우를 받는다는 의미는 아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