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 전 대통령 석방 후 복귀 기대했지만 끝내 파면…출마 시 이달까진 장관직 사퇴해야
윤석열 전 대통령이 파면되면서 각종 여론조사에서 범보수 지지율 1위를 달리는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의 차기 대통령 선거 출마 가능성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윤 전 대통령의 구속 기간 대선 출마를 부정하던 김 장관은 2월부터 대선 출마를 시사하는 발언을 하기 시작했다. 김 장관의 태도는 윤 전 대통령 석방을 계기로 바뀌었다. 그는 윤 전 대통령 석방 다음 날인 지난달 10일 정부세종청사 고용부 기자실을 찾아 “윤 대통령이 석방돼서 기쁘게 생각한다”며 탄핵 기각과 윤 전 대통령 복귀, 본인의 장관직 유지를 예상했다.
하지만, 4일 헌법재판소의 탄핵소추안 인용으로 상황은 또 변했다. 고용부 내에서도 김 장관의 대선 출마를 예상하는 시각이 많다.
김 장관이 대선에 출마한다면 늦어도 이달 말까지 장관직을 사퇴해야 한다. ‘공직선거법’상 공직자가 공직선거에 출마하려면 선거일 전 90일까지, 보궐선거 등에서는 선거일 전 30일까지 직을 그만둬야 한다. 차기 대선은 윤 전 대통령의 궐위로 치러지는 ‘보궐선거 등’에 해당한다. 김 장관이 국민의힘 입당 후 경선을 치르는 경우, 사퇴 시점은 더 앞당겨질 수 있다.
한편, 김 장관은 그간 ‘문재인은 총살감’ 등 과격한 발언으로 논란을 일으켰다. 고용부 장관 취임 후에도 ‘선조는 일본 국적’ 등 발언으로 야권의 질타를 받았다. 윤 전 대통령에 대해선 비상계엄이 잘못됐다고 지적하면서도 탄핵에는 반대했다. 그는 고위공직자 범죄수사처(공수처)를 ‘없애야 할 곳’으로 규정하고, 헌법재판소가 이념적으로 편향됐다고 비판해왔다.
이 과정에서 김 장관은 보수표를 결집하며 유력한 범보수 대권주자로 부각했다.
최근 조사인 엠브레인퍼블릭·케이스탯리서치·코리아리서치·한국리서치의 전국지표조사(NBS, 3일 발표)에서도 김 장관은 차기 대통령 적합도에서 보수 후보 중 1위를 차지했다. 국민의힘 지지층에게 차기 대통령 적합도를 묻는 항목에서 27%의 응답률을 얻었다. 이어 오세훈 서울시장(10%), 한동훈 전 국힘 대표(9%), 홍준표 대구시장(8%) 순으로 응답률이 높았다. 이 조사는 지난달 31일부터 2일까지 18세 이상 남녀 1001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휴대전화 가상번호를 이용한 전화면접(응답률 22.4%) 방식으로, 표본 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포인트(p)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여론조사심의위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