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회생 개시에 암울한 홈플러스...勞勞 갈등마저 커지나

점포 임대료 지급 지연, 구조조정 현실화 우려감 고조

홈플러스 경영진, 노사협의회와 결속 다지자
마트노조 홈플러스 지부 “대표성 없다” 반발
임직원간 파열음에...MBK 확대 해석 경계

원본보기
▲서울 시내 한 홈플러스 매장을 한 시민이 자전거를 타고 지나가고 있다. (사진=조현호 기자 hyunho@)

대형마트 업계 2위 홈플러스가 기업회생절차(법정관리) 개시 이후 점포 임대료를 내지 못하는 등 경영 불안감이 커지자, 임직원들 사이에서도 갈등과 반목으로 몸살을 앓는 분위기다.

최근 홈플러스 경영진은 노사협의회와 만나 내부 결속을 다졌지만 대표교섭노조인 민주노총 서비스연맹 마트산업노동조합 홈플러스 지부(홈플러스 노조)는 고용안정 협약 체결 등을 요구하며 거세게 반발하고 있는 것. 일각에서는 경영진이 직원들 갈라치기를 하고 있다는 주장마저 나온다.

27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홈플러스 경영진과 한마음협의회는 25일 서울 강서구 홈플러스 본사에서 전사 협의회를 열고 내부 결속을 다졌다. 한마음협의회는 전사 조직을 대표하는 노사협의회로, 홈플러스 대형마트ㆍ익스프레스ㆍ물류센터ㆍ베이커리 전국 각 사업장에서 선출된 근로자 위원들로 구성돼 있다. 이날 홈플러스 경영진과 한마음협의회는 회사 정상화를 위해 함께 노력하겠다고 결의했다.

한마음협의회는 입장문을 통해 “회사에 문의한 바, 직원의 임금, 퇴직금 등 지급에는 전혀 문제가 없다”면서 “불필요한 루머로 불안감을 키우기보다 소중한 일터를 지키기 위해 집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자 홈플러스 노조는 거세게 반발했다. 한마음협의회가 직원대표기구 기능이 없다는 이유에서다. 홈플러스 노조는 입장문을 통해 “과거 안산점과 가야점 등 주요 점포 폐점 당시 침묵했고, 통상임금 소송 때도 직원들에게 회사 약속만 믿고 기다리라며 투쟁을 회피했다”며 “법정휴일수당까지 회사에 반납한 기구가 어떻게 직원 이익을 대표할 수 있느냐”고 지적했다.

또 다른 홈플러스 직원은 직장인 익명커뮤니티 애플리케이션(앱) 블라인드를 통해 “회사를 대변하는 부서(한마음협의회)”라고 비꼬았다.

원본보기
▲민주노총 서비스연맹 마트산업노동조합 홈플러스지부 노조원들이 6일 오전 서울 종로구 광화문 D타워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홈플러스 최대주주인 MBK파트너스를 규탄하고 있다. (유승호 기자 peter@)

이처럼 홈플러스 내부에서 직원간 파열음이 나오자, 업계는 홈플러스의 구조조정 현실화 우려가 커지면서 임직원들의 고용불안 우려가 커진 탓이란 해석이다.

법정관리 이후 홈플러스는 현재 매장 임차금 지급을 못하고 있다. 홈플러스 점포 126개 중 임차한 점포는 68개로 절반을 넘는다. 임대업자들이 임대료 미납을 이유로 계약을 갱신하지 않으면, 수천 명의 직원이 한번에 일자리를 잃을 것이란 게 홈플러스 노조의 주장이다.

홈플러스 노조는 “최대주주인 MBK파트너스(MBK)가 홈플러스의 회생을 말하면서도 실제론 점포 매각과 자산 청산을 통한 투자금 회수를 노리고 있다”면서 “진정한 회생 의지가 있다면 폐점 없는 회생 계획과 고용안정 협약부터 체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홈플러스 노조는 홈플러스 경영진과 대주주인 MBK파트너스에 이런한 주장을 요구하기 위해, 전국 점포에서 조합원ㆍ비조합원 모두 참여할 수 있는 비상대책조직 ‘홈플러스살리기투쟁본부(투쟁본부)’를 구성했다.

투쟁본부의 상임 본부장은 강우철 마트노조 위원장이며, 안수용 홈플러스 지부장은 투쟁본부 공동본부장 겸 상황실장을 맡았다. 투쟁본부에는 홈플러스 직영 직원뿐만 아니라 온라인 배송 기사와 협력·외주업체 노동자들도 참여했다.

일각에선 홈플러스 경영진이 대표교섭노조인 홈플러스 노조 또는 투쟁본부 등을 건너뛰고 한마음협의회와 회사 정상화를 결의한 것에 따가운 시선을 보내고 있다. 노노(勞勞) 갈등을 사측이 조장하고 있다는 것이다.

홈플러스와 MBK파트너스는 홈플러스 노조 등이 제기한 의혹에 대해 확대 해석을 경계했다.

홈플러스 관계자는 “법으로 규정된 노사협의회는 일반 직원들이 소속된 대의기구로서 역할을 할 수 있고 이들이 의견을 낸 것”이라면서 “현재 홈플러스 노조의 직원 가입률은 16%밖에 안 된다”고 말했다.

MBK파트너스 관계자는 “(노조 갈라치기 의혹 등) 근거 없고 사실도 아닌 내용을 왜곡보도하면 법적 조치까지 고려해 강경 대응할 것”이라고 답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