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직자 부모 73.9% "중소기업 입사도 괜찮다"

입력 2009-07-30 08: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원하는 자녀 진로는 대기업>전문직>중견기업>공무원 順

구직자 자녀를 둔 부모의 대다수가 자녀의 중소기업 취업을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취업ㆍ인사포털 인크루트가 신입구직자 부모 414명을 대상으로 자녀 진로에 대한 의향을 물은 결과다.

이들은‘자녀가 중소기업에 지원해 합격한다면 어떻게 하겠냐’는 질문에 73.9%(306명)가 ‘좋은 기회라고 생각하고 입사를 허락한다’고 답했는데, ‘구직기간이 길어지더라도 더 나은 곳에 취업할 것을 권유한다’(26.1%)는 답변은 상대적으로 적었다.

이는 경기침체로 구직난이 장기화되면서 구직자뿐만 아니라 구직자의 부모 역시 중소기업 입사를 긍정적으로 여기고 있다는 것으로 풀이된다.

그러나 부모가 원하는 자녀의 진로는 여전히 ‘대기업 입사’(27.8%)가 가장 높은 순위를 차지했다. 또한 ‘전문직(변호사, 회계사)’(17.4%), ‘중견기업 입사’(13.5%), ‘공무원(6급 이하)’(12.3%) 등이 상위에 올랐고 ‘중소기업 입사’(7.7%)는 5순위에 그쳤다.

그 다음으로는 ‘유학 및 진학’(6.8%), ‘공사 및 공기업’(5.8%), ‘고위 공무원(행정고시, 외무고시)’(2.9%), ‘자영업’(1.9%) 순이었다.

또한 앞으로의 자녀의 구직활동에 대해서도 ‘최대한 준비해서 원하는 곳에 취업했으면 좋겠다’(60.1%)는 의견이 많았다.

하지만 많은 구직자들이 오랜 시간 취업난에 시달리고 있는 만큼 ‘되도록이면 빨리 취업했으면 좋겠다’(39.9%)는 답변도 적지 않았다.

한편 구직자의 부모들은 이러한 자녀의 진로 선택에 대해 적극 관여하고 있다고 밝혔다.

‘자녀의 진로 선택에 자신이 얼마나 영향을 미쳤나’를 물었더니 ‘다소 영향을 미쳤다’(53.1%), ‘매우 영향을 미쳤다’(15.5%) 등의 긍정적 응답이 70%에 달했던 것. ‘별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19.6%),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11.8%) 등의 부정적 응답은 많지 않았다.

또 자녀의 진로 선택에 있어 가장 중요한 요소로는 ‘비전(발전 가능성)’(48.1%)이 첫 손에 꼽혔으며 ‘고용안정성’(27.8%), ‘흥미와 적성’(18.4%) 등이 뒤를 이었다. 반면 많은 구직자들이 관심을 갖는 ‘연봉 및 복리후생’(4.8%)는 최하위에 머물러 눈길을 끌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