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율 급등기, 소비자물가 전가 장기효과 증가폭 훨씬 커”

한은 조사국 물가동향팀, 환율의 장단기 물가 전가효과 분석

원본보기
(한국은행)
원·달러 환율이 급등한 시기에 소비자물가 전가 정도는 장기일 때 증가폭이 훨씬 크다는 분석이 나왔다.

조강철 한국은행 조사국 물가동향팀 차장은 27일 ‘환율의 장단기 물가 전가효과 분석’ 보고서를 통해 환율 급등기 때 소비자물가 전가 정도는 장기효과는 1.3%포인트(p)로 집계됐다고 분석했다. 단기효과는 0.31%p로 나타났다.

조 차장은 환율 급등기를 2000년 이후 월평균 원·달러 환율이 3개월 연속 상승하고 기간 중 누적 상승률이 10% 이상이었던 시기로 정의했다.

조 차장은 최근 환율 급등 현상이 과거와 비교했을 때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에서 시작해 짧은 기간 내 큰 폭으로 올랐다는 점이 특징이라고 진단했다. 앞서 세 차례 급등기의 상승기간과 월평균 상승폭은 △2000년 9월~2001년 4월, 26.4원 △2007년 11월~2008년 11월, 36.5원 △2021년 7월~2022년 10월, 19.1원으로 나타났다. 이번 환율 급등기는 작년 10월부터 올해 1월까지 4개월간으로 월평균 상승폭은 30.2원을 기록했다.

원본보기
(한국은행)
조 차장은 “(환율 급등기 내 장기효과 증가폭 확대) 이 같은 결과는 메뉴 비용 등의 존재로 인해 가격 인상을 유보하던 기업들도 환율 상승이 장기화되면 가격 인상에 동참하면서 환율의 물가 전가 효과가 확대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분석했다.

이어 “분석 결과는 향후 환율이 다소 하락하더라도 그간 환율이 급등하였던 것이 올해 하반기에도 잠재적인 물가상승 요인으로 남아있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진단했다.

다만 급등기가 아닌 시기에 원·달러 환율의 소비자물가 전가 정도는 단기효과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물가에 대한 원·달러 환율의 전가효과는 환율 변동률 10%p 상승 시 1년에 걸쳐 0.47%p 오르는 것으로 분석됐다. 단기효과(3개월)는 0.28%p를, 장기효과(4~12개월)는 0.19%로 각각 6대 4 비율로 전가효과가 나타났다.

조 차장은 “월별 누적효과 패턴을 보면 환율의 소비자물가 전가는 환율 변동 후 9개월에 가장 커졌다가 이후 점차 줄어드는 모습을 보였다”고 분석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