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기, 성균관대 소재부품융합공학과 사내대학서 졸업생 첫 배출

원본보기
▲삼성전기 사내대학 1기 재학생들이 졸업식에 참여하고 있다. (사진제공-삼성전기)

삼성전기가 소재·부품 분야의 기술 인재 양성을 위해 정식 사내대학 과정으로 첫 졸업생을 배출했다고 24일 밝혔다.

삼성전기가 운영하는 사내대학은 성균관대학교 소재부품융합공학과로 2022년도 신설됐다. 삼성전기에 특화된 맞춤형 커리큘럼으로 전자·전기, 신소재, 기계, 화학공학 분야를 융합한 대학 교육 과정으로 구성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 mac***
    @대중언론,사설 입시지, 후발 법령은, 국제법, 한국사(국사 성균관교육. 성균관대 자격), 세계사, 국가주권의 상위법.상위 국제관습법 못이깁니다. https://blog.naver.com/macmaca/223528462438
    2025-02-25 00:30
  • mac***
    학벌도 아주 중요합니다. 성균관의 승계 대학 성균관대와, 경성제대 후신 서울대는 복잡한 국제법상의 갈등이 얽혀있습니다. 해방당시 다른 대학들은 이 법적 갈등의 당사자대학들이 아닙니다. 유교의 하느님숭배,조상숭배와 舊신분제 전통을 잘 이해하던 예수회의 귀족계파 서강대는,대한민국 정부 출범이후 국사 성균관교육이 지속되면서, 양반 성대를 이해하던 대학임.이뒤로 조선성명 복구된 5,000만 한국인 뒤 주권.학벌없이 성씨없는 일본 불교 Monkey 점쇠(요시히토,히로히토등)가 세운 마당쇠.개똥이 경성제대 후신 서울대와 그 미만대학들.@대중언
    2025-02-25 00:30
  • mac***
    서유럽이 3년제 8학기로, 공부 엄청나게 해야 하는 시스템입니다. 근대에 성균관 입학방식이 만 20세이상으로 3년 과정이었습니다., 입학시험을 통하여 학생을 선발하되 20세 이상 40세까지의 연령제한을 두었고, 졸업시험에 합격한 자에게만 졸업증명서를 주어 졸업시켰습니다. 성균관을 폐지한후, 불법 강점기 경성제대도 3년제 였습니다. 입학생의 선발방법은 대학의 행정사항이므로, 그렇게 알고 있겠습니다.@@객관적인 법과, 역사, 사실은 아주 중요합니다. 필자는 성대출신입니다. 국가주권처럼 성균관(성균관대)의 한국 최고(最古,最高)대학 학벌
    2025-02-25 00:3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