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증의 기반 365일 24시간 전국 뇌졸중 치료 가능 뇌졸중 안전망 구축 목표
대한뇌졸중학회가 지난달 29일 서울 드래곤시티에서 진행한 국제학술대회(International Conference STROKE UPDATE 2024, ICSU)에서 신경과 전문의 505명이 급성 뇌졸중 인증의로 인정받았다고 2일 밝혔다.
급성 뇌졸중 인증의는 급성기 뇌졸중 진료에 전문적인 자격과 능력을 갖춘 신경과 의사를 인증함으로써 필수중증응급질환인 뇌졸중을 1년 365일 24시간 진료할 수 있는 전문인력을 확보하고 향후 지속가능한 전문 인력 운용체계 확립하고자 대한신경과학회와 대한뇌졸중학회에서 인증하는 제도다. 올해 처음 도입된 급성 뇌졸중 인증의 심사는 9월 2일부터 약 1개월간 신청과 2차 심사과정을 거쳤으며, 505명의 신경과 전문의가 급성 뇌졸중 인증의로 인증받았다.
급성 뇌졸중 인증의 제도 과정에 대해서 발표를 진행한 고상배 대한신경과학회 정책이사(서울의대 신경과 교수)는 급성 뇌졸중 인증의 자격검토 과정에서 뇌졸중 전공 여부, 급성 뇌졸중 환자의 진료 경험, 뇌졸중학회 혹은 신경과학회에서의 교육과 활동 등을 포함해 뇌졸중과 관련된 진료, 연구, 교육에 모두 적극적으로 참여한 사람들이 급성 뇌졸중 인증의로 인증받았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급성 뇌졸중 인증의는 독립적으로 환자를 보고 초급성기 뇌졸중 치료를 결정할 수 있는 능력이 있는 신경과 전문의임을 강조했다.
고 정책이사는 “처음으로 진행하는 급성 뇌졸중 인증의 과정에서 발생한 문제점을 공유하고 향후 공정하고 지속적인 인정의 심사 과정이 지속될 수 있도록 여러 보완 방안을 구축하겠다”라고 말했다.
이경복 대한뇌졸중학회 정책이사(순천향의대 신경과 교수)는 “서울 이외 지역응급센터의 30% 이상에서 급성기 치료가 되지 않아 재이송을 하면서 골든타임을 놓치게 된다”라며 “지역응급센터 중 취약지역을 커버할 수 있고 성장 가능성이 있는 곳을 선별해 인력지원 등을 통해 거점 뇌졸중센터로 성장시켜 전국 뇌졸중센터 숫자를 늘려야 한다”라고 말했다. 이 정책이사는 “현재 119의 급성 뇌졸중 환자 이송지침을 지역응급센터에서 뇌졸중센터로 변경해야 한다”라고 덧붙였다.
이어 “24시간 급성 뇌졸중 진료가 불가능한 것은 제대로 치료할 수 있는 의료진이 없기 때문이며, 대한뇌졸중학회의 급성 뇌졸중 인증의는 현재 뇌졸중 치료 시스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기반이 될 수 있을 것”이라며 “현재 급성 뇌졸중 인증의의 52.3%가 서울, 경기 지역의 병원에 분포하는 반면(서울 161명, 경기 103명), 강원 지역은 14명, 광주/전남 지역은 37명으로 급성 뇌졸중 인증의 숫자도 지역별 불균형이 아직 존재한다”라고 설명했다. 그는 각 취약 지역의 뇌졸중 센터와 전문 인력 확보를 위해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세션에 참여한 김영서 한양의대 신경과 교수는 “뇌졸중은 대표적 필수중증응급질환으로 빠른 시간안에 진단과 치료를 결정해야 해서 뇌졸중 의심 환자를 진료할 때 신경과 의사의 업무부담이 높은 편”이라며 “뇌졸중을 전공하는 의사가 점차 줄고, 인력난은 더욱 심해질 것이며 현 상황에서 여러 의료진의 이탈 위기가 지속되고 있어, 앞으로의 뇌졸중 진료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정부의 정책 마련이 시급하다”라고 강조했다.
김경문 이어 대한뇌졸중학회 이사장(성균관의대 신경과 교수)은 “급성 뇌졸중 인증의를 기반으로 뇌졸중 치료 시스템을 구축하고, 여러 네트워크 사업을 성공적으로 운영할 수 있기를 바란다”라며 “학회는 지속적인 급성 뇌졸중 인증의 확보를 진행해 한국의 뇌졸중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유지하기 위해 노력하겠다”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