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산업·기업銀' 메가뱅크 추진 재점화

입력 2009-07-20 08:21수정 2009-07-20 09:25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정부 민영화 작업 지지부진 재추진 목소리 높아

국책은행 민영화 작업이 정부와 금융당국의 소극적인 태도로 지지부진해진 가운데 금융권 일각에서 메가뱅크 재추진을 요구하는 의견이 고개를 들고 있다.

19일 금융계에 따르면 지분매각 타이밍을 계속 놓치며 시간을 끄느니 차라리 정부 지분이 많은 은행 세 곳을 합쳐서 메가뱅크 쪽으로 방향을 바꾸는 것이 낫다는 주장이 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소매금융이 강한 우리은행과 중소기업에 강한 기업은행, 투자은행(IB)에 강한 산업은행을 하나로 통합해 국내 1위 세계 10위권 수준의 초거대 은행을 만들고 민영화는 이후 시장을 봐가며 장기적으로 추진하자는 방안을 요구되고 있다.

익명을 요구한 은행권 한 관계자는 “은행들이 정부 품안에 있으면 성장에 큰 제약이 따르는 것이 현실”이라며 “은행도 수익을 창출하는 사기업이기 때문에 공무원의 눈이 아닌 사업자의 시각으로 경영을 해야 하는데 정부 소유 은행들은 이에 대해 한계를 느낄 수밖에 없다.

지금 당장 민영화가 힘들면 우선 규모가 되는 은행을 하나로 묶어 국내는 물론 세계적인 투자은행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정부가 나설 필요는 있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금융위기 악재는 물론 떡 줄 사람(정부)의 의지가 불투명해 메가뱅크 실효성은 거의 불가능하다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다.

금융권 관계자는 “소규모 기업을 합병하는 것도 엄청난 시간과 비용이 요구되는데 국내 최대 은행 3곳은 하나로 합치는 것은 지금 시점에서는 거의 불가능하다”며 “금융위기 악재 영향도 있지만 지금 시점에 12조원이 넘는 막대한 공적자금을 투입하는 것은 여론의 반발이 불 보듯 뻔하다. 처음부터 기획 자체가 무리한 발상”이라고 지적했다.

금융위원회 관계자는 아예 “애초부터 메가뱅크에 대한 기획도 없었고 정부에서 단 한 번도 이를 공식적으로 발표 한적 없다”며 “이는 언론들이 만든 추상적인 아이디어일 뿐”이라고 선을 그었다.

그러나 메가뱅크 이슈는 여전히 끊이지 않고 있다.

오히려 은행권 짝짓기란 이름만 바꾸고 하나은행과 씨티은행, 외환은행까지 껴들며 더 크게 확산되고 있는 분위기다.

이에 대해 금융권 한 관계자는 “세계화에 맞서기 위해서는 은행들의 몸짓 불리기는 불가피하다”며 “금융위기 잔해가 여전히 남아있어 아직은 시기상조일 수 있지만 금융시장이 다시 살아난다면 메가뱅크는 언제든지 재 점화 될 가능성은 있다”고 분석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정부가 추진하려고 한 우리지주, 산업은행, 기업은행을 하나로 통합하는 일은 실현될 가능성은 적지만, 핵심은 은행의 대형화인 것 같다”며 “이 때문에 정부와 금융당국이 아무리 계획이 없다고 말을 해도 메가뱅크 자체는 이슈화 될 수밖에 없는 것 같다”고 강조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