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가뱅크' 반대도 메가톤급

입력 2008-04-04 14:42수정 2008-04-04 14:49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기업銀 노조, 강만수ㆍ박병원 겨냥 "몰지각한 발언"

최근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메가뱅크' 안에 대해 반대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기업은행 노조(위원장 김형중)는 4일 성명서를 내고 "외국계 컨설팅업체의 단순한 아이디어 수준의 메가뱅크 추진안은 새정부의 국정철학과도 배치되고 실효성이 없다"며 비판했다.

'금산분리' 완화와 함께 자산규모 540조의 메가뱅크 설립을 추진하고 있는 정부의 일방적인 정책에 반대의 목소리를 분명히 한 것이다.

특히 노조는 강만수 기획재정부 장관과 박병원 우리금융그룹 회장을 겨냥해 "정부가 일부 몰지각한 인사들의 발언에 휘둘려 우왕좌왕하고 있다"며 "정부정책의 혼선을 부축인 박병원 회장에게 책임을 물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는 박병원 회장이 최근 언급한 기업은행 인수 의사를 밝힌 것에 대해서 '적대적 M&A를 선언한 것'으로 받아들이고 강력 대응하겠다는 의지로 풀이된다.

또한 "경제 전체에 미칠 파괴력이 지대한 금융권 구조조정을 두고 부처간 갈등과 힘겨루기 모양새로 혼선을 빚고 있다"며 "그 피해는 결국 고스란히 국민에게 돌아갈 것"이라고 우려했다.

더불어 "자산규모 540조원의 초대형 국책은행의 설립에 대해 금융권과 관계전문가들의 의견은 대체적으로 차갑다"면서 "국책은행을 민영화 하겠다면서 오히려 초대형 은행을 통해 시장을 만들어 가겠다는 것은 관료적 사고이자 탁상공론에 불과하다"고 비판했다.

이와 함께 "신용위험이 거대 합병은행에 집중됨으로써 경기 변동성이 확대되고 금융시장에 미치는 영향력이 증가하여 금융시스템의 불안정성을 가중시킬 것"이라고 지적했다.

노조는 또 메가뱅크 인수 주체에 대해서도 심각한 우려를 표명했다.

기업은행 노조 정성훈 사무국장은 "막대한 자금이 소요되는 초대형 국책은행의 민영화는 외국자본이 아니면 금산분리 완화의 수순을 거쳐 국내재벌의 손에 넘어갈 공산이 크다"며 "결국 대통령의 '기업 프렌들리' 공약은 대기업을 만을 위한 정책이라는 비판에서 벗어날 수 없을 것"이라고 꼬집었다.

그는 따라서 "기업은행 내부정서와 중소기업 육성과 지원에 미치는 막대한 영향을 비롯한 국가경제에 미치는 파장 등 현실을 정확히 이해하고, 실질적인 중소기업지원 전담은행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기업은행 고유의 기능에 충실한 민영화가 되어야 한다"고 밝혔다.

더불어 "노조는 메가뱅크안이 철회되고, 정부주도의 인위적 인수합병 음모가 폐기될 때까지 모든 역량을 동원하여 총력 투쟁하겠다"고 의지를 밝혔다.

메가뱅크 대상인 기업은행 노조가 반대입장과 함께 강력투쟁을 선언하고 나서면서 향후 정부 소유 은행의 민영화가 어디로 향할지 금융권은 지금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