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트렌드는 인공지능(AI) 인력이 아니라, AI에 X를 더한 인공지능 전환(AIX) 인력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필요한 건 AI 기반 기술(core technology)이 아닌, AI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사업입니다.”
김민기 카이스트 경영대 교수는 21일 서울 강남구 한국통신사업자연합회(KTOA) 건물에서 개최된 ‘통신 산업·서비스 스터디 데이’에서 이같이 말했다. 김 교수는 “국내 이동통신3사는 통신 기술로 AI 애플리케이션을 작동시킬 수 있다”며 “AI는 단독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닌, 여러 문제를 해결하며 다른 생태계를 형성하고 다른 이종산업과 연결된다”고 설명했다.
이날 행사에선 이동통신3사의 AI 고도화 현황 및 수익화 방안에 대한 논의가 이어졌다. 김 교수는 “이통3사의 AI 수익화가 당장 안 되더라도, AI 생태계를 구축하면 핵심 사업자가 분명히 나올 수 밖에 없다”며 “영업적자에서 (AI에 투자하는 것이) 마땅하지 않다고 판단하기는 어렵다. AI 생태계가 구축되고 있는 게 눈에 보이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김 교수는 AI 데이터센터와 AI 반도체 등 AI 인프라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AI에서 중요한 건 AI 데이터센터”라며 “전력을 충당할 수 있으면서도 발열을 방지할 만한 그런 인프라를 확충하는 게 맞는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김 교수는 AI 고도화에 필수적인 사용자 데이터 확보에 있어 이동통신사가 유리하다고 봤다. 그는 “통신사는 이용자와의 접점을 갖고 있다”며 “데이터를 가지고 생각할 수 있는 가장 큰 사업은 아무래도 AI”라고 했다. 알뜰폰(MVNO)의 저가 요금제의 존재의의도 이용자 데이터 확보 측면이 크다고 부연했다.
그러면서 김 교수는 AI의 과다학습을 경계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훈련 데이터가 AI 시스템의 병목 현상을 야기할 수 있단 거다. 그는 “원래 이미지를 기반으로 생성형 AI가 1차 창작물을 만들고, 이를 기반으로 2차 창작물을 만들고, 이러한 과정을 계속 반복하다 보면 처음보다 더 이상한 이미지로 귀결되게 된다”며 “이는 학습시킬 ‘원본 데이터’가 점점 고갈된다는 뜻”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