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 밸류업 지수가 다할 순 없어…“세제해택 금투세 폐지가 답”

입력 2024-09-24 17:38수정 2024-09-25 09:34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코라어 밸류업 지수 구성종목

한국은 일본의 시장 개혁(기업밸류업 정책)을 카피하는 데 한계가 있다.(월스트리트저널)

상법 개정이 없는 한 밸류업이 어려울 수 있다.(김대준 한국투자증권 수석연구원)

한국거래소가 24일 ‘코리아 밸류업 지수’를 공개했다. 시장에서는 지수를 추종하는 ‘패시브 자금’이 대거 유입되면서 한국증시의 저평가를 해소하고, 이 종목들의 주가 상승세에 탄력이 붙을 것으로 보고 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시중에 막대하게 돈이 풀린 상황이지만 주가는 힘 빠진 모습이고, 정부가 ‘밸류업 테마주’를 찍어 버블(거품)을 키운다”는 지적도 나온다. 이날 코스피는 기관의 매수세에 1.14% 상승했지만, 개인과 외국인은 6000억 원 넘게 팔며 시큰둥한 반응을 보였다.

시장에서는 기업의 기초체력을 키우거나 세제혜택 없이는 밸류업 지수가 요란한 빈 수레로 끝날수 있다고 지적한다. 사실상 실패작으로 꼽히는 일본은 밸류업지수인 ‘JPX 프라임(Prime) 150’의 전철을 밟을 수 있다는 얘기다.

덩치 큰 기업 중심 ‘밸류업 지수’ 시행

이날 발표된 밸류업 지수에는 정보기술, 산업재 분야 종목이 다수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밸류업지수의 구성 종목에서 가장 많이 포함된 산업군은 IT분야로 총 24개 종목이 포함됐다. 다음은 △산업재(20개) △헬스케어(12개) △자유소비재(11개) △금융/부동산(10개) △소재(9개) △필수소비재(8개) △커뮤니케이션(5개) 에너지(1개)이다.

기업별로 보면 IT분야에서는 △삼성전자 △SK하이닉스 △포스코DX 등 코스피 종목이 11개였고 △한미반도체 △HPSP △주성엔지니어링 등 코스닥 종목 13개가 포함됐다.

산업재 분야에서는 △HMM △대한항공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등 코스피 종목이 17개 △에스에프에이 △에코프로에이치엔 △윤성에프앤씨 등 코스닥 종목이 3개가 편입됐다.

자유소비재에서는 △현대차 △기아 △F&F 등이, 금융·부동산에서는 △신한지주 △우리금융지주 △메리츠금융지주 등이 포함됐다. 소재에서는 △고려아연 △한솔케미칼 △솔브레인 등이, 필수소비재에서는 △KT&G △오리온 △삼양식품 등이 편입됐다.

커뮤니케이션서비스에서는 엔씨소프트, JYP Ent. 등이, 에너지에서는 S-Oil가 속했다.

▲정은보 한국거래소 이사장은 24일 오후 서울사옥 출입기자실에서 '코리아 밸류업 지수'의 구성종목 및 선정기준을 발표했다. (사진=한국거래소)

시장으로 보면 유가증권시장 종목 수가 67개, 코스닥시장 종목 수가 33개로 각각 7대3 비율을 차지했다. 시가총액 비중으로 보면 유가증권이 95.3%, 코스닥 4.7%를 차지했다.

여의도 증권가에서는 밸류업 지수 공개가 국내 증시에 호재가 될 것으로 보면서도 지나친 낙관은 경계했다. 거래소 시뮬레이션 분석 결과, 밸류업지수의 최근 1년 수익률은 12.5%로 코스피 200(4.3%)과 KRX 300(4.9%)을 웃돈다.

이경민 대신증권 연구원은 “기업가치 제고에 긍정적 변화는 맞지만, 단기간 드라마틱한 변화를 일으키는 그림은 아니다. 큰 흐름을 바꾸는 것이라 중장기적으로는 우호적”이라고 말했다. 다만 예상과 달리 밸류업 지수에 편입되지 않았거나 편입된 종목 중에서는 주가 변동성이 생길 가능성이 있다고 덧붙였다.

고경범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밸류업지수에 대한 무분별한 패시브 효과 기대는 낮출 필요가 있다”며 “과거 2008년 녹색성장 펀드, 2014년 통일 액티브 펀드, 2018년 초 KRX300 지수, 2020년 BBIG K-뉴딜 지수 모두 순자산총액(AUM)은 높게 평가할 수 없다”고 밝혔다.

국내 증시의 ‘큰손’인 연기금이 지원에 나설지도 주요 변수다. 이경수 하나증권 연구원은 “연기금이 향후 이틀간 어느 정도 밸류업 종목을 매수하거나 밸류업 지수를 벤치마크로 삼는지 여부 등이 관건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본전 못 찾은 일본과 다를까

시장 전문가들은 밸류업 성공을 위해선 기업의 기초 체력을 키우는 일이 병행돼야 한다고 지적한다. 잘 벌어야 배당도 주주환원도 할 수 있다는 것이다.

기업의 투자와 사업 확대를 저해하는 각종 ‘갈라파고스 규제’를 없애야 한다는 목소리도 크다.

아울러 기업들은 경영권 방어 수단이 같이 마련돼야 한다고 호소한다. 주주환원과 경영권 방어 부담이 늘수록 비용 발생도 늘고 투자 여력이 줄어들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선진국은 차등의결권(일부 주식에 일반주보다 많은 의결권 부여)이나 포이즌 필(신주인수선택권)과 같은 경영권 방어 장치를 두고 있다.

김대준 한국투자증권 수석연구원은 “상법 개정이 없는 한 밸류업은 어려울 수 있다”며 “대주주는 경영권 방어나 상속세 증여 측면에서 주가 부양이 즐겁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라고 꼬집었다. 맥쿼리증권은 최근 발표한 보고서에서 시총 1위 삼성전자에 대해 “현금이 있는 곳과 현금이 필요한 곳 사이에 큰 불일치가 있어 시총 규모를 고려할 때 주주환원 정책을 확대하기에는 제한적”이라고 평가했다.

세제혜택 등 기업들이 실행 의지를 높일 만한 공격적인 지원 방안도 필요하다. 김우진 서울대 교수는 “상속세 완화, 배당 외 다른 수단 금지 등 근본적으로 기업이 주가 오르는 것을 좋아할 만한 조건을 만들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잭키 웡 월스트리트저널 칼럼니스트는 “한국의 높은 상속세율 탓에 재벌가가 주가 부양을 원하지 않을 수 있다”고 평가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