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산 브랜드 BYD 한국 진출 예정…"가격 경쟁력 확보해야"
![](https://img.etoday.co.kr/pto_db/2024/02/600/20240220140053_1989511_1200_797.jpg)
중국에서 만들어진 '테슬라' 영향으로 중국산 전기차 수입액이 올해에만 벌써 1조 원을 넘어섰다. 하반기 중국산 브랜드인 'BYD'의 한국 시장 진출도 예정돼 있어 수입액은 더 크게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18일 정부 등에 따르면 올해 1~7월 한국의 순수전기차(BEV) 수입액은 12억9000만 달러(약 1조7180억 원)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3.5% 늘었다.
국가별로는 중국산 전기차 수입액이 8억4800만 달러(약 1조1350억 원)로 전체 수입액의 65.8%를 차지해 압도적 1위를 기록했다. 이어 독일이 3억3800만 달러, 미국이 4400만 달러, 영국이 2300만 달러로 뒤를 이었다.
지난해 한국의 전기차 수입 1위는 독일이었다. 그러나 올해 중국산 전기차 수입액은 766.8% 폭증하고, 독일산 수입액은 38% 줄며 순위가 역전됐다.
그간 국내에 수입되는 중국산 전기차 대부분은 버스, 트럭 등 상용차였다. 전기버스의 경우 중국산이 국내 시장에 이미 안착했다는 평가다.
이런 상황에서 '중국산 테슬라'가 국내에 상륙하면서 중국산 전기차 수입액이 급증했다. 상하이 기가팩토리에서 생산된 중국산 테슬라는 미국산보다 싼 가격으로 지난해 하반기부터 수입됐다.
카이즈유데이터연구소에 따르면 테슬라 모델Y는 올해 상반기에 작년 동기 대비 395.4% 늘어난 1만41대가 팔려 수입차 베스트셀링 모델이 됐다. 같은 기간 테슬라 모델3(7026대)도 판매량 4위에 올랐다. 전기 버스·트럭에 이어 승용차까지 중국산이 늘어나는 모양새다.
![](https://img.etoday.co.kr/pto_db/2024/07/600/20240704160415_2046914_1200_800.jpg)
문제는 중국산 전기차를 넘어 중국 브랜드의 전기 승용차도 한국 상륙이 예정됐다는 점이다.
올해 하반기부터 중국 최대 자동차 업체인 BYD(비야디)가 저가 전기차를 들고 한국 승용차 시장에 진입, 중국산 전기차 수입이 더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대(對)중국 관세 장벽을 친 미국을 제외한 유럽 등 주요 해외 시장에서 '가성비'를 앞세운 중국 전기차의 진출 확대로 현지 시장 점유율 지키기에 고민하는 우리 자동차 업체들은 국내 시장에서도 중국 브랜드와 치열한 경쟁을 벌여야 하는 상황에 부닥쳤다.
![](https://img.etoday.co.kr/pto_db/2024/09/600/20240918180953_2078416_1198_335.jpg)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KAMA)에 따르면 중국 전기차의 공격적인 해외 시장 확대 움직임 속에서 올해 상반기 세계 시장에서 한국계 전기차 판매 비중은 작년(10.4%)보다 0.8%포인트 줄어든 9.6%를 기록했다.
산업연구원은 최근 발표한 보고서를 통해 "우리 시장이나 후발국 시장 등에서는 (중국 전기차에) 가격 경쟁력이 크게 밀리는 실정"이라며 "가격 경쟁력 확보를 위해서는 생산 방식의 혁신 및 공급망 효율화 등이 필요하고 중국의 가격 경쟁력 원천 파악을 위한 철저한 분석이 선행돼야 한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