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자재 내재탄소·건축물 운영탄소 감축이 중요" [CESS 2024]

입력 2024-06-27 17:53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이홍일 한국건설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이 27일 서울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에서 열린 ‘서울 기후-에너지 회의 (CESS) 2024’에서 발표를 하고 있다. 이투데이와 기후변화센터가 주최한 CESS 2024에선 스마트 녹색 건축을 활성화하기 위한 시장 동향과 건물 환경 및 기술 융합 현황을 공유하고, 제로 에너지 건축 및 그린 리모델링 분야를 통한 탄소중립 달성과 함께 기술혁신, 일자리 창출, 주거환경 개선, 소득 재분배 등의 사회경제적 개선과제와 그 해결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조현호 기자 hyunho@

이홍일 한국건설산업연구원 연구위원는 27일 "탄소배출 비중을 고려할 때 건설자재 내재탄소(건축 원자재의 생산·운송·시공·폐기 과정에서 발생하는 탄소) 감축과 건축물 운영탄소(건축물 운영 단계에서 배출하는 탄소) 감축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 연구위원은 이날 서울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 KBIZ홀에서 이투데이와 기후변화센터가 공동 개최한 '서울 기후-에너지 회의 2024(Climate-Energy Summit Seoul 2024)'에 참석해 "내재탄소 감축 방안은 탄소배출 저감형 자재를 생산하고 활용하는 것과 탄소배출 건설자재의 사용량을 최소화하는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건축물 건설 단계 내재탄소 중 시멘트와 철강재 비중이 90%에 달한다. 두 자재의 비중을 어떻게 줄일 것인지가 중요한 부분"이라며 "이외에 슈퍼 콘크리트나 이산화탄소 흡수 시멘트 등을 개발하고 활용해 실제 시멘트 투입량을 줄이는 방법이 있다. 다만 신기술이기 때문에 먼 얘기가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기존 벽식 구조가 아닌 라멘 구조와 무량판 구조 등을 활용해 시멘트 투입량과 내재탄소를 줄일 수 있다"며 "또한 백년주택과 같이 건설 상품의 장수명화를 유도하면 내재탄소 발생량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내재탄소를 감축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주체들의 협력도 필요하다는 것도 언급했다.

그는 "설계·엔지니어링업체와 자재생산기업, 종합건설기업이 각각 건물을 어떻게 설계하고 어떠한 재료를 쓰는지, 어떻게 시공하는지에 따라 내재탄소를 줄일 수 있다"며 "그것을 어떻게 장려할 수 있을지 정부가 제도를 설계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신축건물의 경우 '내재탄소 자체는 2배가 투입되지만 건물 운영 단계에서의 탄소배출이 1/4로 줄어드는 '제로에너지 빌딩'의 사례를 참고할 필요가 있다"며 "그와 관련된 상세 로드맵을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이 연구위원은 또 "전기차 보조금의 사례를 감안해 건설 과정에서 에너지를 줄일 때 인센티브를 지급하는 방안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면서 "건물을 신축할 때, 기존 건축물을 리모델링할 때 모두 공익과 사익의 균형점을 고려한 인센티브를 지급해 자체적인 탄소배출 감축을 이끌어낼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