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마켓 모닝 브리핑] 기술주 강세에 뉴욕증시 상승…아마존, 시총 2조 달러 돌파

입력 2024-06-27 08:39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트레이더들이 주가를 살피고 있다. 뉴욕(미국)/로이터연합뉴스

뉴욕증시 마감

뉴욕증시는 26일(현지시간) 기술주 강세에 힘입어 상승했다. 아마존은 시가총액 2조 달러(약 2789조 원)를 돌파했다.

다우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15.64포인트(0.04%) 상승한 3만9127.80에 마감했다. S&P500지수는 8.60포인트(0.16%) 오른 5477.90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87.50포인트(0.49%) 상승한 1만7805.16에 거래를 마쳤다.

엔비디아의 롤러코스터 장세에 전날까지 이틀 연속 혼조세를 보였던 증시는 기술주 강세 속에 상승했다. 반센그룹의 데이비드 반센 최고투자책임자(CIO)는 CNBC방송에 “현재 주식시장은 매우 싸다”며 “대형 기술주에 대한 주가 조정이 (주가를) 앞서고 있다”고 분석했다.

주요 종목 중엔 마이크로소프트(MS)가 0.27% 상승했고 애플과 메타는 각각 2%, 0.49% 올랐다. 엔비디아는 0.25%, 테슬라는 4.81% 상승했다. 반면 알파벳은 0.11% 하락했다.

아마존은 3.9% 상승하면서 시총 2조 달러를 돌파했다. 2조 달러 돌파는 미국 기업으로는 다섯 번째 기록이다. 마켓워치는 “아마존은 시총이 1조 달러에서 2조 달러로 넘어가는데 동종 업계보다 다소 더뎠다”며 “최근 엔비디아 시총에 관심이 쏠리고 있지만, 이제는 아마존이 빛을 발할 때”라고 전했다.

국제유가

국제유가는 미국 원유 재고가 증가했다는 소식에도 소폭 상승했다.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8월물 미국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는 전 거래일 대비 0.07달러(0.09%) 상승한 배럴당 80.90달러에 마감했다. 런던 ICE선물거래소에서 8월물 브렌트유는 0.11달러(0.13%) 오른 배럴당 85.12달러로 집계됐다.

CNBC방송에 따르면 미국 에너지정보청(EIA)은 지난주 상업용 원유 재고가 전주 대비 359만 배럴 증가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255만 배럴 감소했을 거라던 시장 전망치를 뒤엎는 결과다. 휘발유 재고 역시 265만 배럴 증가해 228만 배럴 감소를 점친 전망치를 뒤집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여름 휴가철이 가까워지고 있는 점이 유가를 떠받치고 있다고 진단했다. 미즈호증권의 밥 야거 애널리스트는 “여름철 드라이빙 시즌은 휘발유가 빛을 발하는 때”라며 “그런 일(유가 하락)은 일어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유럽증시 마감

유럽증시는 이틀째 하락했다.

범유럽 주가지수인 스톡스유럽600지수는 전일 대비 2.89포인트(0.56%) 내린 514.81에 마감했다. 독일 프랑크푸르트증시 DAX30지수는 22.38포인트(0.12%) 하락한 1만8155.24에, 영국 런던증시 FTSE100지수는 22.46포인트(0.27%) 떨어진 8225.33에, 프랑스 파리증시 CAC40지수는 53.15포인트(0.69%) 하락한 7609.15에 거래를 마쳤다.

시장은 28일 발표될 미국의 5월 개인소비지출(PCE) 물가지수를 주시하고 있다. PCE는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가장 선호하는 물가지표로 연내 금리인하 시점과 폭에 결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

또 프랑스, 스페인, 이탈리아의 인플레이션 데이터도 이번 주에 발표될 예정이다.

프랑스는 조기 총선 30일 1차 투표에 이어 내달 7일 결선을 치른다. 여론조사에 따르면 극우당 국민연합(RN), 좌파 정당 연합인 신민중전선(NFP), 에마뉘엘 마크롱 대통령의 집권 여당 르네상스의 연대 세력인 앙상블 등 순으로 의회 의석을 차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유럽 ​​최대 자동차 제조업체인 폭스바겐은 주가가 1.6% 하락했다. 미국 전기차 제조사 리비안과의 합작 투자의 일환으로 최대 50억 달러를 투자하겠다고 발표한 후 1.6% 하락했다.

뉴욕금값 마감

국제 금값이 달러화 강세와 미국 장기 국채 금리 상승에 하락했다.

뉴욕상품거래소(COMEX)에서 거래의 중심인 8월물 금은 전장보다 17.6달러(0.8%) 내린 온스당 2313.2달러에 장을 마감했다.

미국 달러화가 거의 두 달 만에 최고치를 기록하면서 달러의 대체 투자처로 여겨지는 금에 부담으로 작용했다. 또 미국 장기 국채 금리가 상승해 무이자 자산인 금 선물의 투자 매력도가 떨어질 것으로 판단한 매도세가 나왔다.

바트 멜렉 TD증권 상품 전략 책임자는 “현시점에서 시장은 미국 달러 강세에 반응하고 있으며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초여름에 (금리를) 움직이지 않을 가능성을 계속 가격에 반영하고 있다”고 말했다.

가상자산

주요 가상자산 가격은 하락했다.

미국 가상자산 전문 매체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비트코인 가격은 한국시간 27일 오전 8시 30분 현재 24시간 전보다 1.43% 하락한 6만810.62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이더리움 가격은 0.57% 내린 3372.01달러를 나타내고 있다.

바이낸스코인은 0.65% 떨어진 573.13달러에, 리플은 1.02% 하락한 0.47001069달러에 거래됐다.

뉴욕 외환시장

미국 달러화 가치는 전날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인사의 매파적 발언에 이어 이날 엔화 약세에 강세를 보였다.

미국 경제매체 CNBC 방송에 따르면 주요 6개 통화 바스켓에 대한 달러 강세를 추적하는 달러인덱스는 전장보다 0.42% 상승한 106.05를 기록했다. 유로·달러 환율은 1.0682달러로 약세를 보였고, 파운드·달러 환율은 0.37% 내린 1.2624달러를 나타냈다. 달러·엔 환율은 0.7% 오른 160.69엔으로 집계됐다. 달러인덱스가 106선을 웃돈 것은 지난달 1일 이후 처음이다.

전날 미국 연준 관계자들의 매파적 발언이 나오면서 금리 인하 시기가 늦춰질 것이라는 관측에 달러화가 강세를 보였다. 연준 내에서 ‘매파’로 꼽히는 미셸 보먼 연준 이사는 전날 “금리 인하를 개시할 때가 아니다”라며 “인플레이션이 둔화하지 않으면 금리 인상 가능성을 열어둬야 한다”고 말했다. 다른 연준 이사인 리사 쿡도 언젠가는 금리를 인하할 것이라는 입장을 내놨지만, 구체적인 시점을 말하진 않았다.

한편 이날 일본 당국의 구두개입 발언에도 엔화 약세를 멈추진 못했다. 달러·엔 환율은 장중 160엔 후반대까지 올라 1986년 12월 이후 약 38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CNBC는 일본이 개입을 위해 미 국채를 매도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면서 국채 수익률을 올린 것에 따른 것이라고 설명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