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 재무장관 "양국 통화 가치하락 심각…제3국 공동진출 지속"

입력 2024-06-25 16:45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왼쪽)이 25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9차 한-일 재무장관회의'에 앞서 가진 스즈키 슌이치 일본 재무장관과 사전 면담에서 악수하며 인사를 하고 있다. (자료제공=기획재정부)

2016년 이후 8년 만에 서울에서 9차 한일 재무장관회의 개최
양국 통화스와프 금융 안전성 공감…개선 방안 지속 논의키로

한일 재무장관이 양국 통화 가치하락에 대한 심각한 우려를 공유하고 적절한 조치를 계속 취해 나갈 것을 재확인했다.

또한 지난해 재개된 양국 통화스와프 중요성에 공감하고, 필요시 향후 개선 방안을 논의하기로 했다.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25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스즈키 슌이치 일본 재무장관과 제9차 한일 재무장관회의를 열어 양국의 경제상황과 주요 정책 등에 대해 의견을 교환했다.

이번 회의는 작년(일본)에 이어 2년 연속으로 개최된 것이며, 한국에서 양국 재무장관회의가 열리는 건 2016년 이후 8년 만이다.

이날 한일 재무장관은 양국의 경제동향과 대외 경제상황에 대해 세계 경제가 완만한 회복 국면이라고 평가하면서도 지정학적 갈등 지속, 주요 교역국의 성장 둔화 가능성, 외환시장 변동성 심화 등 세계경제의 불확실성이 여전히 있다는 점에 공감했다.

특히 두 장관은 양국 통화 가치하락에 대한 심각한 우려를 공유하고 적절한 조치를 계속 취해 나가기로 했다.

세계경제 불확실성에 따른 달러(안전자산) 선호 등으로 엔화 가치가 하락세를 지속하면서 엔·달러 환율이 160엔 돌파를 앞두고 있다. 원·달러 환율도 1400원 재진입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양국 간 투자 증진 필요성에 대해 인식도 같이했다. 이와 관련해 스즈키 슌이치 재무장관은 최근 외국인 국채투자 접근성 개선 등을 통한 세계국채지수(WGBI) 편입 및 외국 금융기관에 대한 외환시장 개방, 개방시간 연장 등 한국 정부의 외환시장 구조개선 노력을 환영했다.

저출생 대응과 기업가치 제고 등 양국이 공통적으로 관심을 가지고 추진 중인 정책에 대한 경험을 공유하고 의견도 나눴다.

양자 및 다자협력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한일 재무당국 간 공조 강화방안에 대해서도 논의했다.

양국 장관은 지난해 재개된 한일 통화스와프가 양국의 금융 안전성을 강화한다는 점에 동의하고, 개선 방안에 대해 향후 지속적으로 논의하기로 했다.

앞서 양국은 작년 12월 한일 통화스와프 계약을 체결했다. 2015년 2월 이후 8년만에 양국 간 통화스와프가 재개된 것이다. 교환 방식은 원화와 엔화를 주고받는 방식이 아니라, 100억 달러 규모의 전액 달러화 베이스다. 우리로서는 외환 위기 시 달러 확보가 더 수월해질 수 있다.

양국 장관은 또 최근 조세재정연구원과 재무성 정책연구기관(PRI) 협력의향서(MOI) 체결을 계기로 재정건전화, 지방소멸 등 양국 공통의 구조적 문제 해결에 대한 연구협력이 촉진될 것으로 기대했다.

아울러 관세, 국제조세 등 분야에서의 협력을 지속하고 차관급 회의, 단기 직원 방문 프로그램을 계속 개최하기로 합의했다.

제3국 공동진출과 관련해서는 양국이 시너지를 발휘해 실질적인 성과가 지속적으로 나올 수 있도록 노력하기로 했다. 앞서 양국은 칠레 구리광산 증설사업 공동 진출 지원 등의 제3국 인프라 업무협약(MOU)을 체결한 바 있다.

끝으로 양국 장관은 내년 한일 국교정상화 60주년을 맞아 재무당국간 소통과 협력을 더욱 강화해 나가자는데 뜻을 같이 하고, 내년 일본에서 제10차 한일 재무장관회의를 개최하기로 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