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 노조 파업권 확보…車 업계 파업 번지나

입력 2024-06-26 08:24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현대차 노조, 25일 합법적 파업권 확보
기아·현대모비스 등 계열사에 영향 전망
GM 한국사업장 노조도 쟁의행위 찬성
전문가, “시기적으로 파업 더 큰 우려”

▲현대자동차 노사 대표가 지난 5월 울산공장 본관 동행룸에서 2024년 임금협상 교섭 상견례를 진행하고 있다. (연합뉴스)

현대자동차 노조가 합법적인 파업권을 획득하며 자동차 산업 전반에 파업의 전운이 감돌고 있다. 파업이 현실화할 경우 생산은 물론 실적에도 차질을 빚을 것이란 우려가 제기된다.

26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차 노조는 전날 중앙노동위원회(중노위)로부터 조정 중시 통보를 받은 데 더해 쟁의행위 찬반 투표를 89.97%의 찬성률로 가결하며 합법적인 파업권을 확보했다. 지난 13일 임금협상을 결렬한 지 11일 만이다.

다만 현대차 노조가 즉각적인 파업에 돌입하는 것은 아니다. 현대차 노조는 향후 중앙쟁의대책위원회(쟁대위)를 열고 파업 여부와 일정을 논의한다. 쟁대위 출범식은 27일로 예정돼있다.

노조는 전면적인 파업보다는 ‘특근 거부’ 카드부터 꺼낼 가능성이 높다. 현대차 노조는 지난 2월 특별성과급 지급을 두고 사측과 이견이 생기자 주말·휴일 특근을 거부했으며 지난해 8월에는 임단협 과정에서도 특근을 거부한 바 있다.

자동차 산업의 ‘큰형님’ 격인 현대차 노조가 파업권을 얻어내며 산업 전반에 파업이 불거질 것이라는 우려도 제기된다. 당장 현대차 노조의 협상 결과에 큰 영향을 받는 계열사인 기아, 현대모비스 등만 더해도 업계에 미치는 영향력이 크기 때문이다. 현대차·기아 노조는 내달 10일 금속노조 파업에 동참할 것으로 알려지기도 했다.

기아의 경우 올해 사측에 현대차 노조와 비슷한 수준의 임단협 요구안을 전달했다. 현대차가 노조 요구안에 대해 “쟁점을 좁히자”며 사실상 수용 불가 의사를 밝힌 만큼 기아의 요구안도 받아들여지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이밖에 GM 한국사업장(한국지엠) 노조도 쟁의행위 찬반 투표를 찬성 가결하고 중노위의 조정을 기다리는 만큼 업계 전반의 파업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일각에서는 파업이 현실화할 경우 생산 부진으로 인한 실적 타격이 발생할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특히 올해 자동차 산업이 극심한 내수 부진을 소폭의 수출 증가로 만회하고 있는 상황인 만큼 수출 물량에 직접적인 차질이 발생하면 실적 저하가 불가피한 상황이다.

문학훈 오산대 미래전기자동차과 교수는 “현대차 노조가 파업을 시작하면 금속노조에 속한 여러 기업이 연쇄적으로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크다”며 “내수·수출 모두 호조를 보인 최근 2년에 비해 올해는 시기적으로 파업이 경제적으로 더 큰 타격이 우려된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