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회사채, 우량·비우량 등급 간 양극화 완화”

입력 2024-06-25 16:00수정 2024-06-25 16:25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금투협 ‘채권포럼’ 개최…채권‧크레딧 시장 투자전략 모색

금융투자협회는 올해 하반기 채권 및 크레딧시장 전망과 투자전략을 모색하기 위해 채권포럼을 개최했다고 25일 밝혔다.

이날 포럼에서 ‘2024년 하반기 채권시장 전망과 투자전략’을 발표한 강승원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연초 이후 미국 물가 상승을 주도한 소수 품목의 가격 인상 효과가 마무리되며 디스인플레이션이 자리를 잡을 것”이라며 “이에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는 점차 고용 둔화에 방점을 두며 9월을 시작으로 하반기 두 차례(9월‧12월) 금리인하에 나설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어 “연준의 금리 인하는 채권시장의 테마가 물가에서 경기로 이동하는 이정표가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강 연구원은 “우리나라의 경우 2분기 국내총생산(GDP)에서 1분기의 내수 반등이 일시적이라는 것이 확인될 것”이라며 “7∼8월 중 근원물가 상승률이 2%에 도달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한국은행도 점차 경기 둔화에 방점을 두고 8월을 시작으로 하반기 두 차례(8월‧11월) 금리를 인하할 것”이라며 “이에 따라 국채 금리는 점차 하향 안정화될 가능성이 크다”고 했다.

‘2024년 하반기 크레딧시장 전망과 투자전략’을 발표한 김은기 삼성증권 연구원은 “올해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저신용 회사채의 신용등급 하락 및 우량·비우량 회사채 양극화 이슈 등 다양한 크레딧 리스크 요인으로 크레딧 스프레드 확대를 전망했다”면서도 “상반기 크레딧 시장은 4분기 금리인하까지 오랜 시간이 남아 있어 그 기간 상대적으로 금리가 높은 크레딧 채권에 대한 캐리 수요 확대로 크레딧 스프레드가 지속적으로 축소됐다”고 했다.

또 김 연구원은 “하반기에도 크레딧 채권에 대한 캐리 수요로 크레딧 스프레드 확대가 제한될 것”이라며 “하반기 동안 부동산 PF 우려가 지속적으로 제기될 전망이나, 충분히 시장에서 예상된 리스크로 정부의 지속적인 지원 정책으로 인해 투자심리를 크게 위축시키지는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올해 회사채 시장의 가장 큰 특징은 우량·비우량 등급 간 양극화 완화”라며 “레고랜드 사태 이후 큰 폭으로 확대됐던 AA등급과 A등급 간 스프레드가 올해 축소세로 전환됐다”고 했다.

다만 그는 “여전히 BBB등급 회사채는 발행과 투자가 부진해 회사채 시장에서 소외되고 있다”며 “그나마 올해 회사채 수요예측에서 BBB등급이 높은 경쟁률을 보인 주요한 요인은 하이일드펀드의 수탁고 증가”라고 했다.

그러면서 “BBB등급 회사채 시장 활성화를 위해 올해 말 일몰 예정인 하이일드펀드에 대한 분리과세 세제 혜택이 연장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