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폐지수집 어르신에 ‘소득보장 일자리’ 지원한다

입력 2024-06-25 11:15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전 자치구에 일자리 전환 전담기관 지정
폐지수집 계속 원하면 평균수입 2배 지급

▲서울시청사. (자료제공=서울시)

서울시가 한 달에 수입이 15만 원 남짓인 폐지수집 어르신들에게 소득보장 일자리를 연계하고, 폐지 수집을 지속해서 원하면 수입을 늘려주는 지원책을 시행한다.

25일 서울시에 따르면 현재 서울 내에는 3000여 명의 폐지수집 어르신들이 활동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여성이 61%로 절반을 넘었다. 폐지수집 어르신의 연령은 80대 이상 47%, 70대 41%, 60대 12%로 나타났다.

이번 지원의 핵심은 폐지를 줍지 않아도 생계를 이어나갈 수 있도록 안정적 소득 활동이 가능한 노인 일자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에 서울 내 25개 자치구에 ‘폐지수집 어르신 일자리 전환 전담기관’을 지정해 일자리 발굴부터 건강과 성향 등을 고려한 저강도 일자리 연계, 후속 조치까지 체계적으로 지원한다.

전담기관은 자치구 내 시니어클럽, 노인종합복지관 등을 활용해 공공장소 플라스틱 및 담배꽁초 수거, 수변공원 환경미화원 등 월 30시간 내외 일자리를 개발해 연계할 계획이다. 또한 60대 어르신들에게는 경험과 체력 등을 고려해 복지시설도우미, 도보 배달원 등 민간일자리를 연계해 적정 소득을 보장하겠다는 방침이다.

폐지수집 활동을 지속하고자 하는 어르신들에겐 공공일자리 사업 중 하나인 ‘폐지수집 일자리 사업단’을 연계해 수입을 늘려주는 방식을 적용한다. 폐지수집 일자리 사업단은 수집한 폐지를 자치구가 지정한 공동판매처에 가져다주면 판매금액에 보조금을 더해 2배 수준(평균 30만 원) 가량의 금액을 급여로 지급받게 된다. 현재 13개 구에서 1253명이 일하는 중인데, 시는 전 자치구 1800명으로 단계적으로 확대할 방침이다.

발굴~상담~지원 ‘폐지수집 어르신 관리시스템’ 구축

아울러 시는 폐지수집 어르신 관리시스템도 구축해 사각지대 어르신 발굴부터 심층 상담, 맞춤지원과 후속관리가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이뤄지도록 한다. 관리시스템에 등록된 어르신에 대해선 동 주민센터 복지플래너가 초기상담을 해 일자리 전환 전담기관으로 연계해 적합한 일자리를 알선한다. 월 1회 이상 주기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건강상태, 필요서비스도 확인한다.

또한 폐지수집 어르신들에게 ‘어르신 안전보험’ 가입을 지원해 교통사고를 비롯한 각종 안전사고에 대비한다. 자치구와 협의해 고물상 주변 무단횡단이 잦은 지역에는 안전 시설물도 설치한다. 서울 내 고물상과도 협의해 휴게공간도 조성할 계획이다.

정상훈 서울시 복지정책실장은 “고령화시대 어르신들이 폐지수집 아닌 더 안전하고 안정적인 일을 통해 생활을 유지하도록 노인 적합형 일자리를 적극적으로 발굴‧공급하는 동시에 정부와도 긴밀한 협조를 통해 실질적으로 생계에 도움이 되는 지원을 두텁게 펼치겠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