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 "한반도 안보 상황 엄중…안보 태세에 만전" 지시[종합]

입력 2024-06-24 15:08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윤석열 대통령이 18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국무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

윤석열 대통령은 24일 "한반도를 둘러싼 안보 상황이 엄중하므로 안보 태세에 만전을 기할 것"을 당부했다. 북한의 대남 '오물 풍선' 살포와 북한과 러시아의 밀착 외교 등으로 한반도 일대 군사적 긴장감이 고조된 데 대한 대응 강화를 주문한 것으로 풀이된다.

윤 대통령은 이날 오전 수석비서관회의에서 이같이 밝혔다고 이도운 대통령실 홍보수석이 서면브리핑을 통해 전했다. 이는 러북조약과 중동사태 등이 미칠 군사 및 경제안보에 관해 확고한 대비 태세를 유지하라는 뜻이라는 게 대통령실의 설명이다.

앞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평양에서 정상회담을 한 뒤 '포괄적인 전략적 동반자 관계에 관한 조약'을 맺었다. 북한과 러시아 중 한 쪽이 전쟁상태에 처하면 지체 없이 군사 원조를 제공한다는 내용을 담으면서 북러가 28년 만에 사실상 동맹으로 돌아갔다는 평가가 나왔다.

▲장호진 국가안보실장이 20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북한과 러시아의 '포괄적인 전략적 동반자 관계에 관한 조약' 체결 관련 정부 성명을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북러 관계가 군사동맹 수준으로 격상됐다고 본 우리 정부는 "엄중한 우려를 표하며 이를 규탄한다"는 내용의 성명을 발표했다. 특히 우리 정부는 우크라이나에 살상 무기를 지원하지 않는다는 기존 방침을 재검토하겠다고 맞불을 놨고, 이에 푸틴 대통령은 "(한국의) 큰 실수가 될 것"이라며 "북한에 대한 초정밀 무기 공급을 배제하지 않는다"고 경고해 긴장감을 고조시켰다.

대통령실은 러시아의 움직임에 따라 우리의 대응 강도가 달라질 수 있음을 재차 강조했다. 장호진 국가안보실장은 23일 "러시아가 고도의 정밀 무기를 북한에 준다고 하면 우리에게 더 이상 어떤 선이 있겠는가"라고 강경 발언을 이어갔다.

또 한러 관계에 대해선 "최근 러시아의 동향은 조금씩 레드라인에 가까워지는 모습을 보였다"며 "(우크라이나) 전쟁 후 한러 관계를 복원 발전시키고 싶으면 러시아 측이 심사숙고하라는 말씀을 다시 드리고 싶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