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정KPMG “Z세대 2명중 1명, 틱톡·인스타 등 SNS로 쇼핑”

입력 2024-06-24 13:31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출처=삼정KPMG)

디지털 네이티브인 Z세대가 상거래 시장의 주요 소비자로 떠오르는 가운데 이들 중 절반 이상이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서 쇼핑 경험을 확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온·오프라인을 넘나드는 쇼핑 방식을 선호하며 10명 중 8명은 지속가능성을 이행하는 브랜드를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삼정KPMG는 24일 이같은 내용이 포함된 ‘파괴적 커머스, 아시아태평양 유통 흐름을 주도할 뉴패러다임’ 보고서를 발간했다. 한중일을 포함한 14개의 아태국가 약 7000명의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를 기반으로 구성했으며 응답자의 약 절반이 Z세대(1995년~2010년생)에 속해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평균 45%의 응답자가 ‘옴니채널(온·오프라인을 넘나드는 구매 방식)’을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31%는 주로 온라인으로 물건을 구매한다고 밝혔으며 오프라인을 선호한다는 응답은 24%에 불과했다.

특히 틱톡과 인스타그램 같은 소셜 커머스 플랫폼이 Z세대의 소비에 영향을 끼쳤다. 아태지역 Z세대의 대다수가 소셜 커머스(63%)와 라이브 커머스(57%)가 쇼핑 경험을 향상시키는 데 중요한 요소라고 언급했다.

플랫폼 선택에 있어 ‘가격 경쟁력’이 가장 중요하다는 응답이 57%로 가장 높았고, ‘상품 다양성(54%)’과 ‘빠르고 신뢰할 수 있는 배송(46%)’이 뒤를 이었다. 약 3분의 1의 응답자들이 지난 12개월 동안 ‘소액후불결제(BNPL)’ 서비스를 이용했으며 앞으로도 계속 이용할 것이라고 밝혔다. 중국에서는 그 비율이 55%에 달했으며, 한국은 약 35%로 동남아시아 지역 국가를 뒤이은 수치를 보였다.

한국의 전자상거래 시장 경쟁은 매우 치열하며 점유율은 네이버 쇼핑(22%), 쿠팡(20%), 지마켓(15%), 11번가(13%) 순으로 나타났다. 네이버 쇼핑은 44세 이하의 연령대에서 가장 선호되며 쿠팡은 45세에서 54세, 11번가는 55세 이상 연령대에서 우위를 점했다. 응답자 중 43%가 구독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다고 답했다.

한편, 보고서는 유통·소비재 시장에서 주목할 만한 여섯 가지 주요 트렌드로 △인공지능(AI) △충성고객전략 △옴니채널(Omni-channel) △Z세대의 부상 △디지털 결제 △지속 가능성 등을 제시했다.

신장훈 삼정KPMG 유통·소비재산업리더 부대표는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유통 시장은 성장세를 보이며 팬데믹 이전 수준에 점차 도달하고 있다”며 “소비자를 포함한 모든 이해관계자에게 공급망 전반에 걸친 신뢰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