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케투어리즘’으로 외화 벌이 나서는 일본...한국·대만에 맞서 ‘영화 촬영지 유치 경쟁’

입력 2024-06-23 16:22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10년간 2조 엔 경제효과 기대
작품당 최대 10억 엔 보조금 지급
모호한 인허가 제도가 발목

▲디즈니플러스에서 방영한 ‘쇼군’ 장면. 일본 센고쿠 시대를 배경으로 했지만 미국과 캐나다에서 촬영했다. 출처 뉴시스
기록적인 엔저에 해외 관광객들의 성지가 된 일본이 ‘로케투어리즘’으로 본격적인 외화벌이에 나서고 있다. 23일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은 일본 정부가 영화·드라마 촬영지를 관광하는 ‘로케투어리즘’이 10년간 2조 엔(약 17조4246억 원)의 경제 효과를 볼 것으로 예상하고, 보조금 등을 지원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닛케이는 한국과 대만 등 다른 아시아 국가와의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해 비자 등을 손봐야 한다고 지적했다.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OTT) 플랫폼 활성화로 전 세계가 ‘콘텐츠 전성기’를 맞이하면서, ‘로케투어리즘’이 새로운 경제 전략으로 부상하고 있다. 이는 영화나 드라마 촬영지가 되어 개봉 후 해외 관광객을 끌어들이는 방법이다. 촬영지가 관광객들의 새로운 명소가 되기도 하고, 인근 상가 등 지역 경제 활성화에 도움이 되기 때문에 각국이 촬영지 유치에 힘쓰고 있다.

일본 정부는 지난해 작품당 최대 10억 엔의 보조금을 지급하는 규정을 신설했다. 제작비를 보조하거나 일본 내 촬영지를 섭외해 해외 작품에 선정되도록 힘쓴다. 일본은 지방자치단체 등이 운영하는 ‘필름 커미션(FC)’만 전국에 약 400개가 있다. 이 기관은 촬영지를 유치하고 필요한 지원을 제공한다. 일본 내 영화 촬영은 2022년 32건으로 3년 전보다 약 4배 급증했다. 광고 효과로 환산하면 약 22억 엔으로 지난해보다 두 배 늘었다.

하지만 일본의 모호한 인허가 제도가 ‘로케이션 경쟁’에서 발목을 잡고 있다는 지적도 있다. 관공서나 경찰, 소방의 인허가 절차가 다르기 때문에 일일이 신고해야 하기 때문이다. 2월 개봉된 디즈니플러스의 쇼군(SHOGUN)은 일본 센고쿠 시대를 배경으로 했지만, 촬영지 섭외에 난항을 겪어 미국과 캐나다에서 모두 촬영됐다. 넷플릭스재팬의 스기하라 요시타카 이사는 “부처 간 낡은 법안이 관광지 유치의 걸림돌”이라며 “촬영에 필요한 비자 제도를 손봐야 한다”고 지적했다.

닛케이는 한국을 비롯한 영국, 캐나다도 비슷한 보조금의 제도가 있다며 경쟁자가 많은 상황이라고 분석했다. 이어 대만, 호주 등 아시아태평양 국가들이 촬영지 유치에 적극적이기 때문에 더 빠른 대책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태국은 제작비의 최대 30%를 보조하고 촬영 가능 여부를 10일 안에 통보한다고 닛케이가 전했다.

일본은 ‘쿨재팬(Cool Japan)’ 정책으로 문화산업을 홍보해왔지만, 수요에 맞지 않는 보조금 남발로 막대한 적자를 낸 바 있다. 닛케이는 제2의 전철을 밟지 않으려면 민간과 긴밀하게 협력해 현실을 고려한 시책을 내놔야 한다고 꼬집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