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기업을 먹잇감으로 삼는 외국 투기자본의 공세가 갈수록 거세지고 있다. 대표적인 행동주의펀드인 엘리엇매니지먼트는 현대자동차그룹이 추진한 지배구조 개편을 무산시켰고, 삼성물산과 제일모직의 합병 과정을 문제 삼으며 소송을 걸기도 했다. 엘리엇 같은 투기자본은 한 국가를 부도상태로 몰아넣을 만큼 막강한 힘을 가진 괴물이 된 지 오래다.
23일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가 김수연 법무법인 광장 연구위원에 의뢰해 작성한 ‘주주행동주의 부상과 과제’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행동주의 펀드의 공격을 받은 한국 기업 수는 2019년에 비해 9.6배로 증가했다. 2019년 8개사에서 지난해 77개사로 5년 연속 증가했다. 미국, 일본에 이어 전세계에서 세 번째로 행동주의 캠페인 타깃이 된 기업수가 많다.
보고서는 특히 그동안 행동주의 펀드가 선봉장에서 주장했던 코리아디스카운트 해소가 정부의 핵심 정책으로 자리잡으면서 이제 행동주의 펀드의 공격은 그럴듯한 명분을 얻게 됐다고 평가했다. 우리나라가 밸류업 프로그램의 벤치마킹 대상으로 삼는 일본이 비슷한 문제를 겪고 있다. 닛케이아시아는 지난달 미국 행동주의 펀드 달튼 인베스트먼트가 일본 방송사 후지 미디어홀딩스에 경영권 인수를 통해 그룹을 비공개로 전환하자는 제안을 담은 서한을 보냈다고 보도했다. 앞서 달튼 인베스트먼트는 2019년 한국 정부와 의회에 △자사주 매입시 자동 소각 △은행 금융지주사의 낮은 주주환원 개선 △의무 공개매수 제안 제도 도입 등을 요구하는 공개서신을 보내기도 했다.
글로벌 사모펀드 칼라일그룹에 따르면 일본에서 비상장 전환한 기업수는 2015년 47개에서 2022년 135개로 3배 가까이 늘었다. 칼라일그룹은 행동주의 펀드 공격 강화에 그 원인이 있다고 분석했다. 김수연 연구위원은 “기업의 장기 성장보다 이벤트 전략을 앞세워 단기 주가 상승을 통해 이익을 실현하는 행동주의 펀드의 본질이 희미해지면서 우리나라도 일본과 같이 행동주의펀드를 비롯한 주주행동주의가 더욱 힘을 얻어 왕성해질 가능성이 매우 높아졌다”고 경고했다.
늑대가 떼를 지어 사냥감을 공략하는 것처럼, 여러 개 펀드가 연대해서 하나의 기업을 먹잇감으로 삼는 ‘울프 팩(wolf pack·늑대 무리) 공세’가 본격화할 움직임도 보인다. 삼성물산은 올해 초 시티오브런던인베스트매니지먼트, 팰리서캐피탈, 화이트박스어드바이저스, 안다자산운용과 같은 국내외 운용사들로부터 주주환원 강화 요구를 담은 주주서한을 받기도 했다. 글로벌 자산운용사 라자드에 따르면 지난해 1분기 시작된 전세게 69건의 행동주의 캠페인 가운데 49%가 울프 팩과 연관된 것으로 분석됐다.
기업들은 경영권 방어 수단이 같이 마련되어야 한다고 호소한다. 주주환원과 경영권 방어 부담이 늘수록 비용 발생도 늘고 투자 여력이 줄어들 수 있어서다. 선진국은 차등의결권(일부 주식에 일반주보다 많은 의결권 부여)이나 포이즌 필(신주인수선택권)과 같은 경영권 방어 장치를 두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