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 의대 교수들 진료 재개…“지속 가능한 저항”

입력 2024-06-21 15:07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정책 받아들이는 의미 아냐…26일 청문회 환영

▲서울대병원 교수들이 전공의 사태 해결 등을 요구하며 무기한 휴진에 들어간 17일 서울 종로구 서울대학교병원이 한산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조현호 기자 hyunho@

서울대 의대 교수들이 전면 휴진 일주일 만에 진료를 재개할 것으로 보인다.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서울대학교병원 교수협의회 비상대책위원회(비대위)는 의대 교수 대상 투표를 진행한 결과 전면 휴진을 중단한다고 21일 밝혔다.

비대위는 전날부터 서울대 의대 산하 서울대학교병원,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서울특별시보라매병원, 강남센터 등 4개 병원 소속 교수들에게 휴진 지속 여부와 향후 대정부 방침을 물었다. 그 결과 응답자 948명 중 698명(73.6%)이 휴진을 중단하고 ‘지속 가능한 방식의 저항’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답했다. 휴진을 지속해야 한다는 의견은 192명(20.3%)이었다.

구체적인 활동 방식을 묻는 질문에는 75.4%가 ‘정책 수립 과정 감시와 비판, 대안 제시’가 필요하다고 동의했다. 또한, 55.4%는 범의료계와의 연대가 필요하다고 답했다.

이외에도 65.6%의 교수가 환자와 의료진의 안전을 고려해 지속 가능한 적정 수준으로 근무시간을 조정해야 한다고 답했다.

비대위는 “서울대병원 특성상 현 상황이 장기화하면 진료 유지 중인 중증 환자에게도 실제적인 피해가 생길 수 있다”라며 “전면 휴진을 중단하는 이유는 당장 지금 발생할 수 있는 환자의 피해를 그대로 둘 수 없어서이지, 무능한 불통 정부의 설익은 정책을 받아들여서가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의료계와 교육계의 혼란과 붕괴의 책임은 전적으로 정부에 있다”라며 “우리는 저항을 계속할 것이며, 정부의 무책임한 결정으로 국민 건강권에 미치는 위협이 커진다면 다시 적극적인 행동을 결의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26일 열릴 의료 사태 관련 국회 청문회를 환영하며, 이를 통해 이번 의료 사태를 초래한 정부 정책 결정 과정이 낱낱이 밝혀지길 기대한다”라고 덧붙였다.

비대위는 의대 증원 절차를 멈추고 사직 전공의 대상 처분을 취소할 것을 요구하며 17일부터 전면 휴진에 돌입했다. 이에 따라 응급, 중증, 희귀질환 등의 환자 진료만 유지하고, 17일~21일 예정했던 진료와 정규 수술·시술 대부분을 연기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