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나다, 미국ㆍEU 동맹따라 중국산 전기차 관세 추진

입력 2024-06-21 10:56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중국산 전기차 관세협의 곧 개시”
트뤼도 총리, 中EV 관세압박 받아
지난해중국산 전기차 5배 늘어나
중국산 테슬라 모델Y 수입 급증 탓

▲쥐스탱 트뤼도 캐나다 총리가 오타와에서 열린 한 행사에서 연설하고 있다. 오타와(캐나다)/AP연합뉴스

캐나다 정부가 미국과 유럽연합(EU)에 이어 중국 전기차에 관세 부과를 추진하고 있다고 20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이 보도했다.

쥐스탱 트뤼도 총리 내각 관계자는 “아직 구체적인 진행방식에 대해서는 최종 결정을 내려야 하지만 조만간 중국이 캐나다에 전기차를 수출하는 것에 타격을 줄 관세에 대한 공개 협의가 곧 시작될 것”이라고 말했다.

캐나다는 조 바이든 대통령이 지난달 중국산 전기차에 대한 관세를 최대 102.5%까지 약 4배 끌어올리겠다는 발표한 이후 미국의 방침에 동참해야 한다는 국내외 압박을 받았다. EU도 지난주 미국에 이어 중국산 전기차 일부에 대해 최대 48%의 관세를 부과할 계획이라고 밝히기도 했다.

미국을 포함한 서방은 중국이 과잉생산을 통한 ‘밀어내기’식 수출로 글로벌 공급망을 장악하는 것은 물론 자국의 산업을 위협한다고 보고 있다.

더그 포드 온타리오주(州) 총리는 전날 “중국이 저렴한 전기차를 만들기 위해 낮은 노동 기준과 더러운 에너지를 이용하고 있다”라면서 트뤼도 정부에 최소한 미국과 비슷한 수준의 관세 부과를 검토할 것을 요구했다. 그는 소셜미디어 엑스(X·옛 트위터)에도 “우리가 빨리 행동하지 않으면 온타리오주와 캐나다 일자리가 위험할 것”이라고도 했다. 캐나다 자동차산업 단체들도 북미자유무역협정(NAFTA)을 고려할 때 미국과 비슷한 태도를 보여야 한다고 목소리를 내고 있다.

캐나다에 운송되는 중국산 전기차 수는 지난해 4만4000대로 전년 대비 5배가량 늘었다. 테슬라가 상하이에서 만든 모델 Y 차량을 캐나다로 운송하기 시작한 영향이다.

트뤼도 총리는 그간 이러한 국내외 압박에도 중국의 무역 보복 가능성을 이유로 신중한 모습을 보여왔다고 블룸버그는 전했다. 실제로 그는 공개적으로 취재진에 캐나다 정부가 다른 국가들의 대응을 지켜보고 있다고는 언급했지만, 신규 관세를 언급하지 않았다. 환경단체를 비롯한 일각에서는 전기차 보급을 확대하기 위해서는 전기차 비용을 낮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지적하고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